문화 문화일반

가야 고분군, 한국 16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

유선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17 22:23

수정 2023.09.17 22:45

가야유적 7곳 묶은 '가야고분군', 한국 16번째 세계유산 등재 (서울=연합뉴스)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고분 유적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2023.9.17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가야유적 7곳 묶은 '가야고분군', 한국 16번째 세계유산 등재 (서울=연합뉴스)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고분 유적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2023.9.17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고대 가야 문명을 대표하는 고분 유적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이 보유한 세계유산은 문화유산 14건, 자연유산 2건 등 총 16건으로 늘어났다.

가야는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 연맹체로, 주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한 작은 나라들로 이루어졌다. 경남 김해에 있었던 금관가야를 비롯해 경북 고령 대가야, 경남 함안 아라가야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가치를 인정받은 가야고분군은 1∼6세기 중엽에 걸쳐 영남과 호남 지역에 존재했던 고분군 7곳을 묶은 연속 유산이다.

여기에는 김해 대성동 고분군을 비롯해 고령 지산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등이 포함돼 있다.

(서울=뉴스1) = 17일 오후(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정되자 최응천 문화재청장(가운데)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뻐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2023.9.17/뉴스1 /사진=뉴스1
(서울=뉴스1) = 17일 오후(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정되자 최응천 문화재청장(가운데)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뻐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2023.9.17/뉴스1 /사진=뉴스1

가야고분군은 오랜 준비 과정을 거쳐 세계유산에 오르게 됐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당초 김해와 함안 고분군, 고령 고분군 등은 각각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해 잠정목록에 올랐으나 문화재청은 2015년 이를 '가야고분군'으로 묶어 등재를 추진하기로 하고 7곳의 유적을 추가 선정한 바 있다.


이번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해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는 2013년 잠정목록에 오른 이후 10여년 동안 민·관·학이 함께 마음을 모아 이뤄낸 쾌거"라면서 "세계에서 인정한 가야고분군의 가치를 지키고 널리 홍보해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는 세계유산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