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시, 뉴욕과 경제·사회·기후·문화 전방위 협력한다

이설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19 11:15

수정 2023.09.19 11:15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 면담
경제·사회·기후·문화 등 친선협력
참전용사 기념비 참배
한국전 참전용사 숭고한 희생에 감사 전달
오세훈 시장(오른쪽)이 18일(현지시간)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과 친선도시 협약체결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시장(오른쪽)이 18일(현지시간)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과 친선도시 협약체결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시장(오른쪽 두번째)이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베터리파크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에서 헌화를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 시장(오른쪽 두번째)이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베터리파크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에서 헌화를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뉴욕(미국)=이설영 기자】 서울시와 뉴욕시가 경제, 사회, 기후,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를 확대하고, 상호협력 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현지시간) 뉴욕시청에서 에릭 애덤스(Eric Adams) 뉴욕시장과 만나 친선도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뉴욕은 유엔본부를 비롯한 수많은 다국적 기업, 국제기구, 문화예술기관이 위치해 '세계의 수도'라고 불린다. 서울시는 뉴욕시와의 친선결연을 계기로 서울의 매력과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최근 한국과 미국이 경제와 문화를 넘어서 과학기술 동맹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서 관계가 매우 깊어지는 가운데 서울시와 뉴욕시가 친선 우호 관계를 맺게 돼 매우 뜻깊다고 생각한다"며 "서울시와 뉴욕시가 함께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관계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애덤스 시장은 "뉴욕시와 서울시가 환경, 재생에너지,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굉장히 많다고 생각한다"며 "시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국가 간의 협력이 중요한 만큼 도시 간 협력과 시장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한데 앞으로 뉴욕과 서울과의 관계가 나침반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약자와의 동행' 주요 정책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 애덤스 뉴욕시장은 일자리, 안전, 주택, 돌봄을 행정 키워드로 두고, 특히 유색인종·이민자 등 사회적 약자를 적극적으로 포용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등 서울시의 '약자와의 동행' 등 주요 정책들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오 시장은 이날 뉴욕시청 방문에 앞서 맨해튼 배터리파크 내에 있는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를 찾았다. 짙은 남색 정장에 검은색 넥타이를 착용하고 온 오 시장은 비가 내리는 가운데 헌화·묵념하며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기렸다. 올해 정전 70주년 및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이번 방문이 의미를 더했다.

오 시장은 헌화 후 "70년전 이름도 몰랐던 지구 반대편 작은 나라의 평화수호를 위해 숭고한 목숨을 바친 4만여명의 영령들을 추모한다"며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대한민국 번영의 씨앗을 만들어주신 참전용사들의 헌신과 희생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어 "이제 대한민국은 원조받던 나라에서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유일한 나라로 성장했다"며 "서울시도 국제사회 기여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물적, 경제적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1991년 미국 내 최초로 헌정된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는 미국 내 ‘잊혀진 전쟁(The Forgotten War)’이라 불리는 한국전쟁을 알리고, 한국전 참전한 미군 및 유엔군을 기리기 위해 설립됐다. 22개 참전국 국기와 국가별 한국전쟁 사상자 수를 모자이크식으로 조각했다.

이날 방문에는 박근실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뉴욕지회 회장, 살 스칼라토(Sal Scarlato) 한국전쟁 미국 참전용사 총회 뉴욕지회 회장, 김광석 뉴욕한인회 회장 등이 함께했다.

서울시는 보훈대상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고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참전명예수당과 보훈예우수당의 개편·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6·25와 월남전에 참전한 국가유공자에게 지급하고 있는 참전명예수당을 내년 1월부터 월 10만원에서 월 15만원으로 인상을 추진 중이다.
현재 4·19혁명 유공자, 5·18민주유공자 및 특수임무유공자에게 지급하고 있는 보훈예우수당의 지급 범위도 내년 1월부터 전상군경, 공상군경 및 공상공무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