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日 "중국, 센카쿠열도 인근 일본 EEZ 내 해상 부표 설치…철거 요구"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앞바다에 일본 해경선이 떠 있다. 2023.08.18/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앞바다에 일본 해경선이 떠 있다. 2023.08.18/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중국이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 해상 부표를 설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위치는 오키나와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으로 확인됐다.

NHK에 따르면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중국 측에 항의하고 즉시 부표를 철거할 것을 요구했다고 19일 말했다.

이어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우리나라(일본)의 동의 없이 구축물을 설치하는 것은 유엔 해양법협약 관련 규정을 위반한다"며 "신속히 외교 창구를 통해 중국 측에 항의하고 즉시 부표를 철거하라고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유엔 해양법협약은 당사국의 동의 없이 타국의 EEZ 안에서 해양 조사를 실시하지 못하도록 정하고 있다.

마쓰노 관방장관은 "계속해서 관계 부처가 긴밀히 연계하고 인근을 항행하는 선박의 안전 확보 및 경계·감시에 만전을 기하며, 우리나라의 영토·영해·영공을 단연코 수호한다는 생각으로 의연하고 냉정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지난 7월 센카쿠열도 주변 EEZ 내에 노란색 중국 부표가 설치된 것을 확인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직경 10m 크기의 부표에는 '중국해양관측부표 QF212'라는 글자가 적혀 있었으며 해저로 내려뜨려 고정된 상태였다.

비슷한 사례는 이전에도 발생했다. 지난 2016년과 201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국가해양국'이라고 적힌 부표가 일본 EEZ 내에서 확인됐다. 해상보안청은 표류하는 부표를 회수해 부착된 장치를 조사한 후 중국 측에 넘겼다.


제11관구해상보안청본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에 중국이 부표로 수집한 정보를 인공위성으로 송신하고 있다며 "조류 등을 조사해 (중국) 해경선을 파견하는 데 참고"하고 있다고 추측했다.

아울러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직경 10m짜리 부표를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는 작업선 '샹양훙 22'가 지난 7월2일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지난 7월15일, 부표 인근을 항행하는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항행 경보를 내는 등 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