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과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 업무협약' '추석 명절 맞아 내수경기 활성화 및 협력회사 물품대금 1조4000억원 조기 지급' '삼성화재 안내견학교 30주년'.
이달 삼성에서 진행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활동들이다. 이들 사업의 공통점은 오랜 기간 삼성의 지원이 지속됐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들 사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삼성의 '실적부진' 속에서 이어졌다는 점이다. 삼성은 글로벌 반도체 한파로 올해 역대급 실적부진에 시달리고 있지만 사회적책임은 오히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동행' 비전에 따른 사회적책임 확대는 칭송받아야 마땅하지만, 삼성의 이윤창출에 대한 명확한 전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기업의 가장 기본목적은 이윤창출이다. 이윤창출을 기반으로 주주의 이익 극대화와 사회적책임을 다할 수 있다.
삼성의 장기적 사업전략과 대형 인수합병(M&A), 그룹 전체를 아우르는 협력이 한계를 보이는 것은 구심점 역할을 할 컨트롤타워 부재와 관련이 깊다. 삼성 '미래전략실(미전실)'이 국정농단 사건 여파로 2017년 공식 해체되면서 3개의 TF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의 미래 먹거리 발굴과 육성에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삼성이 '제2의 반도체'로 점찍은 바이오는 2010년 미전실이 주도한 사업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재계에서는 '제2의 미전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삼성의 감시기능을 맡은 독립 법률 감독·자문기구인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이찬희 위원장은 수차례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작은 돛단배에는 컨트롤타워가 필요 없지만, 삼성은 어마어마하게 큰 항공모함"이라며 "많은 조직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한 컨트롤타워가 없으면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정농단 사태로 미전실 부활에 대한 우려가 높은 건 사실이지만, 이미 삼성의 윤리경영을 위한 장치는 제 역할을 하고 있다.
준감위는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 재가입을 두고 제 목소리를 내며 견제와 감시 역할을 했다.
그룹 컨트롤타워는 재벌의 하수인 조직이라는 과거의 인식은 더 이상 통용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과거의 실수가 두려워 만시지탄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산업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