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테헤란로

노00존, 남일이라고? 안전지대는 없다 [테헤란로]

박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27 13:42

수정 2023.09.27 13:42

노00존, 남일이라고? 안전지대는 없다 [테헤란로]


[파이낸셜뉴스] 독일 교환학생 시절 차별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눈을 찢으며 칭챙총하는 인종차별은 사실 그렇게 충격적이진 않았다. 수준 낮은 액션들은 상대방이 못배운 '모지리'라서 그렇다고 생각하면 그만이었다.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애매하게 나를 배제한다는 느낌이 들 때였다.

당시 자매대학에서는 현지학생들과 교환학생을 일대일로 매칭해줬다. 서툰 독일에서 도움이 필요한 외국인들을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나는 내 파트너를 첫날 이후로 만날 수가 없었다. 나와 매칭된 독일 학생은 나를 보자마자 내가 아시안이라는 것에 크게 실망한 눈치였다. 그리고 몇 마디 대화를 나누고는 언어가 유창하지 않으니 더욱 싸늘해졌다. 결국 나는 그가 원한 조건의 외국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연락이 끊겼다. 재밌는 사실은 유럽이나 영어권 교환학생들은 이 프로그램의 수혜를 누리며 많은 모임을 만들고 어울렸지만 나를 비롯한 아시안 학생들은 그곳에 낄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한국에서 당찬 여대생으로 살다 처음으로 느껴보는 아웃사이더의 느낌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난다. 물론 다시 한국에 돌아와서는 느낄 수 없는 기분이었지만 최근에 기시감을 종종 느낀다. 나에게 아이가 생기면서다.

휴가를 준비하면서 호텔을 알아보다 몇 차례 포기를 해야했다. 이전부터 가고싶었던 1순위 호텔은 숲캉스가 컨셉이었는데 알고보니 '노키즈존'이어서 아예 입장자체가 불가능했다. 2순위 호텔은 식사와 다과를 즐길 수 있는 라운지가 '노키즈존'이었다. 남편과 교대로 아이를 보면 이용은 가능했겠지만 이 역시 뭔가 유쾌하지는 않아 결국 다른 곳으로 갔다.

생각보다 우리 사회에 노키즈존이 많다는 것에 놀랐는데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이제는 '노시니어존'까지 확대되고 있다. 최근 한 카페 프랜차이즈에서는 매장을 오래 이용한 노인에게 퇴장을 요구해 논란이 커지자 본사가 직접 사과까지 했다.

노래퍼존, 노유튜버존, 노아재존 등 다양한 노00존은 이제 유머소재로도 쓰이고 있다. 맘충, 틀딱, 급식충 등의 혐오표현은 이미 누구나 다 아는 신조어로 자리매김했다.

우리사회에 배제와 혐오가 희화화 되는 것을 경계해야한다. 이는 결국 분노를 낳고, 불특정다수를 향한 폭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 차별에 있어서 안전지대는 없다는 점도 기억하자. 나 역시 언젠가 누군가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