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대기오염에 5일만 노출돼도 뇌졸중 사망위험 급증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28 12:30

수정 2023.09.28 12:30

요르단 연구진, 전세계 1800만건의 뇌졸중 사례 분석
대기 오염 수준이 높을수록 뇌졸중 사망 위험도 높아져
대기중 이산화황 농도 높으면 사망위험 60%까지 증가
고비 사막과 내몽골 고원 등지서 발원한 황사가 유입돼 부산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PM-10)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5월 22일 황령산 봉수대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도심이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시스 제공
고비 사막과 내몽골 고원 등지서 발원한 황사가 유입돼 부산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PM-10) 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5월 22일 황령산 봉수대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도심이 뿌옇게 보이고 있다.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기오염에 단 5일만 노출돼도 뇌졸중 위험이 최대 60%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민건강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기오염 감소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세계적으로도 대기오염 감소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을 뜻한다.

요르단대학교 아마드 투바시 박사는 1800만건 이상의 뇌졸중 사례가 포함된 110개 연구를 메타분석해 대기오염과 뇌졸중 연관성을 미국 신경학회의 의학저널 '신경학(Neurology)'에 28일(한국시간)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뇌졸중은 뇌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뇌세포와 조직이 죽는 뇌경색이 일어나거나, 혈관이 터져 뇌출혈을 일으킨다.
뇌졸중 증상은 가벼운 어지럼증부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망 원인 4위이며, 성인 장애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원인이기도 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뇌졸중 환자수는 2021년 241만1632명으로 2020년 200만7862명보다 40만명 이상 늘어났다. 세계 뇌졸중학회 보고에 따르면 4명 중 1명이 뇌졸중을 경험하고, 국내에서는 매년 10만~15만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에서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뇌졸중 환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아마드 투바시 박사는 "과거 연구에서는 대부분 오랜 기간에 걸친 대기 오염과 뇌졸중 위험 증가 연관성을 연구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5일 동안의 노출만을 고려해 연관성을 찾아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우선 110건의 연구결과를 모아 그 결과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산화질소와 오존,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등의 오염물질을 조사했다. 또한 PM1과 PM2.5, PM10을 포함한 다양한 크기의 미세먼지까지 조사했다.

PM1은 지름이 1μm(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대기 오염물질로, PM2.5 및 PM10도 포함된다. PM2.5 이하의 입자에는 자동차 배기가스, 발전소 및 기타 산업에서의 연료 연소 그리고 산불로부터 나온 호흡 가능한 미세먼지다. PM10은 보통 도로와 건설 현장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다.

뇌졸중. 게티이미지 제공
뇌졸중. 게티이미지 제공
그결과, 여러 유형의 대기 오염에 노출된 사람들은 뇌졸중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이산화질소 농도가 높은 경우 뇌졸중 위험이 28% 증가했으며, 오존 농도가 높은 경우 5% 증가했다. 일산화탄소는 26%, 이산화황은 15% 증가했다. 또한 미세먼지 중 PM1 농도가 높을 경우 뇌졸중 위험은 9% 증가하고, PM2.5는 15%, PM10은 14% 증가했다.

특히 높은 수준의 대기오염은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았다.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은 경우,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60%까지 증가했다. 다음으로 이산화질소가 33%, PM2.5 9%, PM10은 2% 증가했다.

투바시 박사는 "대기오염 노출 후 5일 이내의 뇌졸중 발병 및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은 공기 오염을 줄이는 정책을 만들기 위한 국제적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이를 통해 뇌졸중의 발생과 그 결과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그는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상당수의 자료가 고소득 국가의 것으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는 제한된 데이터만 사용 가능했다고 밝혔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