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기업 AI 나아갈 방향은"…KT, 中·日 통신사와 '글로벌 AI 콘퍼런스'

KT·차이나모바일·NTT도코모 관계자가 '통신 AI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백서' 발간기념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KT 제공)
KT·차이나모바일·NTT도코모 관계자가 '통신 AI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백서' 발간기념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KT 제공)


(서울=뉴스1) 박소은 기자 = KT(030200)가 중국의 차이나모바일, 일본의 NTT도코모와 13일 중국 광저우에서 진행한 '글로벌 인공지능(AI) 콘퍼런스 2023'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5일 밝혔다.

'글로벌 AI 콘퍼런스 2023'은 한국·중국·일본 통신사업자 협의체인 SCFA의 인공지능 워킹 그룹(AI WG)이 주관하는 행사다.

콘퍼런스에서는 '개방형 AI 생태계를 향하여'(Toward an Open AI Ecology)를 주제로 KT·차이나모바일·NTT도코모를 비롯해 이들과 협력하는 파트너사들의 AI 기술과 활용 사례가 발표됐다.

KT는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메타버스 플랫폼인 '지니버스'의 생성형 AI 기술을 발표했고, KT와 AI 반도체 및 초거대 언어모델(LLM) 분야에서 협력하는 리벨리온, 업스테이지는 각각 AI 컴퓨팅의 미래와 LLM 인슈어테크(Insurtech·보험과 기술 합성어)의 응용 기술을 소개했다.

차이나모바일은 자사에서 활용 중인 통합적인 AI 기술을 소개했고, NTT도코모는 데이터 기반 관리의 도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화웨이는 AI를 활용한 혁신적인 컴퓨팅 기반 구축 기술을, 엔비디아는 생성형 AI와 아이폰을 주제로 한 발표를 진행했다.


아울러 한·중·일 통신사는 함께 집필한 '통신 AI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백서' 발간을 기념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공동 선언했다.

주요 내용은 △AI 기술과 제품 개발에서 공정성·비차별·투명성·해석 가능성의 원칙 준수 △표준화와 개방형 생태계 통해 자원과 기술 공유 강화 △책임감 있는 AI 개발을 위한 사회적 책임 강화 등이다.

배순민 KT 상무는 "글로벌 AI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AI 콘퍼런스를 계속해서 준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