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바이든, 팔레스타인 사태에 중동 전격 방문...확전 위기 진화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17 11:01

수정 2023.10.17 11:02

바이든, 18일 이스라엘 방문 이후 요르단 및 이집트 정상과 회동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도 만날 예정
이스라엘에 미군 2000명 배치된다는 추측도
이란, 이스라엘 주변 무장단체 언급하며 확전 가능성 경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연설하고 있다.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미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연설하고 있다.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18일(이하 현지시간) 중동을 방문해 이스라엘 및 요르단과 이집트를 방문하여 가자지구 사태를 논의할 전망이다. 바이든 정부는 이스라엘이 봉쇄중인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인 지원을 약속하면서 미군 파병을 준비 중이라고 알려졌다.

바이든, 관련국 정상들과 연쇄 회동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동 순방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16일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기자들과 만나 바이든이 18일 도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바이든이 "중동과 세계를 위해 중요한 순간에 이스라엘을 방문한다"며 그가 "이스라엘과 연대를 및 이스라엘 안보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16일 미 여당인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뉴욕주)는 상원 개회 연설에서 "앞으로 며칠 안에 이스라엘이 스스로를 방어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할 긴급 보완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가자지구를 지배하는 무장정파 하마스는 7일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수천명의 사상자를 초래했다. 블링컨은 바이든이 이스라엘의 반격권을 확실히 언급할 것이라며 "또한 이스라엘이 자국민을 하마스로부터 보호하고 향후 다른 테러리스트들의 공격을 막을 의무가 있다는 점도 밝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은 이스라엘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이후 주변국 정상들과 대화할 예정이다. 미국의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6일 발표에서 바이든이 이스라엘을 방문한 이후 요르단 암만을 찾아 요르단 및 이집트 정상과 연쇄 회동한다고 밝혔다. 그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마무드 압바스 수반과도 만날 계획이다. 가자지구는 유엔이 인정하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정부인 PA 관할이었으나 지난 2007년 내전으로 인해 하마스의 손에 떨어졌다.

블링컨은 이스라엘과 연대를 강조한 뒤 "미국과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내 민간인들에게 구호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에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마스가 이러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방해한다면 그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도록 만들겠다"고 경고했다. 이스라엘은 지난 8일부터 가자지구를 봉쇄하면서 수도와 전기 등을 차단했으며 16일까지도 이를 복구하지 않았다.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9월 20일 미 뉴욕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AP뉴시스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9월 20일 미 뉴욕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AP뉴시스

확전 가능성 커져, 미국·이란 움직여
블링컨은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지만 미군 투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바이든은 이번 사태 직후 이스라엘 인근에 항공모함 전단 2개를 파견했지만 15일 공개된 인터뷰에서 미국 지상군 파병에 대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들은 16일 보도에서 미 국방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이스라엘 지원을 위해 약 2000명의 병력을 선발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선발된 병력이 전투 병력은 아니라며 군사 자문과 의료 지원 임무를 맡는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파병 지역과 시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같은날 미 CNN 또한 미 국방부 소식통을 인용해 미 해병과 해군 총 2000명으로 구성된 신속 대응 부대가 이스라엘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CNN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 장관이 전날 저녁 이를 명령했으며 해당 병력이 의료와 병참 지원 같은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NN은 미국이 이번 분쟁의 확전을 막기 위해 지역 내 군사력 강화로 무력 과시에 나설 계획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현지에서는 점차 확전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17일 발표에서 이웃한 레바논의 헤즈볼라 표적을 공습중이라고 밝혔다. 이슬람 시아파 무장정파인 헤즈볼라는 레바논과 시리아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앞서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는 지난 10일 발표에서 이란이 이번 하마스 공격의 배후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다만 16일 이란의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이 다른 전선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17일 이란 국영 프레스TV에 따르면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이란 외무장관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계속 공격하면 확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이라크 등 이슬람 국가 등을 순방한 그는 "저항 전선의 지도자들은 정치적 해법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믿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하지만 (가자 지구) 민간인에 대한 이스라엘 정권의 전쟁 범죄가 계속된다면 모든 가능성은 열려 있다"라고 말했다.
아미르압돌라히안은 특히 "저항 지도자들은 시오니스트(이스라엘 민족주의) 정권이 역내에서 원하는 대로 하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몇 시간 이내에 (이스라엘을 겨냥해) 모든 선제 조치가 가능하다"라고 주장했다.

16일(현지시간) 레바논 남부 다하이라 마을에서 이스라엘 포병이 발사한 포탄이 폭발하고 있다.<div id='ad_body3' class='mbad_bottom' ></div>AP뉴시스
16일(현지시간) 레바논 남부 다하이라 마을에서 이스라엘 포병이 발사한 포탄이 폭발하고 있다.AP뉴시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