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드러난 피해만 190억 '수원 전세사기' 경찰 임대인 사무실 등 압수수색(종합)

장충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17 13:47

수정 2023.10.17 13:47

정모씨 일가 18개 법인 세워 임대사업 '소유 건물만 51개
617가구 피해 예상, 피해 규모만 475억 예상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가 수원시청에서 정부와 지자체에 피해자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전세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가 수원시청에서 정부와 지자체에 피해자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수원=장충식 기자】 최근 경기 수원시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의혹과 관련, 경찰이 17일 이 사건 임대인 일가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이날 수사관 20여명을 투입해 정씨 일가의 입회 하에 주거지부터 사무실까지 차례로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 사건 관련, 지난달 5일 최초로 고소장을 접수한 이후 지난 16일 오전 8시까지 134건의 고소장을 받아 수사를 벌여왔다. 고소장에 적시된 피해 금액은 190억원 상당이다.

고소인들은 정씨 일가와 각각 1억원 대의 임대차 계약을 맺었으나, 이들이 잠적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서류 등 자료를 분석한 뒤 정씨 일가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정씨 일가가 운용한 부동산 임대업 법인 관련 사무실도 다수 포함됐다고 한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개인 통신·전자장비는 물론 임대차 계약 관련 서류, 부동산 등 자산 및 법인 관련 서류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마치는 대로 압수물을 분석하고, 정씨 일가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객관적 증거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경찰 지난달 5일 최초로 고소장을 접수했으며,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수원남부경찰서가 맡고 있던 이 사건을 지난 4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로 이관했다.

고소인 중 절반 이상은 아직 임대차 계약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으나, 정씨 일가의 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발생한 데다가 연락마저 끊겼다는 소식을 접하고 피해를 우려해 경찰서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정씨 일가를 상대로 한 고소장 접수가 이어지며 피해 규모가 날로 커지자 이들에 대해 출국금지 조처한 뒤 수사를 벌여왔다.

정씨 부부는 부동산 임대업 관련 법인 등 총 18개의 법인을 세워 대규모로 임대사업을 벌였고, 아들 정씨는 공인중개사 사무실을 운영하며 해당 임대차 계약을 중개한 의혹을 받고 있다.

임차인들에 따르면 정씨 일가가 소유한 건물은 51개이다. 이 중 3개 건물은 경매가 예정돼 있고, 2개 건물은 압류에 들어간 상태이다.

피해가 예상되는 주택 가구수는 671가구로 예상 피해액(전세 보증금)이 확인된 세대는 394가구이며, 액수는 475억원 상당이다.

임차인들은 세대당 예상 피해액이 1억2000만원 상당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 피해액은 총 81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찰은 정씨 일가와 고소인들 사이에서 임대차 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 및 보조 직원 6명에 대한 고소장도 접수해 수사 중이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