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병원

소아 실명 유발하는 미숙아 망막증, 선별검사가 중요

강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23 11:02

수정 2023.10.23 11:02

출처=뉴스1
출처=뉴스1

[파이낸셜뉴스]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미숙아 생존률이 급격히 향상되고 있으나, 위험한 고비를 넘긴 미숙아의 합병증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합병증인 시력장애 중 미숙아 망막증은 망막 혈관의 이상 증식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소아 실명의 가장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적절한 시기에 미숙아 망막증을 검사, 치료할 수 있도록 별 국가 상황에 합당한 체계적인 선별 검사 프로토콜을 정립했다고 23일 전했다.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영아 교수는 8개 국가 336개 신생아중환자실 운영의료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각나라별 프로토콜을 공유한 문헌 조사를 함께 시행했다. 이번 연구는 공동 제1저자인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김세연, 공동 교신저자인 삼성서울병원 장윤실, 이대목동병원 조수진 소아청소년과 교수와의 공동 국제 연구결과이다.

연구결과 미숙아 망막증 선별 검사 및 치료에 대한 아시아 8개국의 가이드라인 및 실태는 차이가 있었다.
극소미숙아 (재태<27+0주)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자료에서 치료가 필요한 미숙아 망막증의 발생률은 13.7% 이었다. 한국 신생아네트워크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국의 발생률은 11.5% 이었으며 일본 14.8% 이었다. 한편 말레이시아에서 미숙아 망막증 발생률은 29.4%, 태국 17.7% 등으로 확인됐다.

미국 및 서부 유럽 고소득 국가에서는 신생아 치료 기술의 발달로 더 어리고 작은 아기도 생존하고, 미숙아 망막증이 생기기 때문에 선별 검사 기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성숙한 아이들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미국 등 서구권에서는 출생체중이 1.5kg 미만이거나 출생 시 재태 연령이 31주 미만, 한국은 30주 미만, 일본은 31주 미만 출생아, 필리핀, 싱가폴, 말레이시아, 대만은 32주 미만, 인도네시아는 34주 미만 출생아를 대상으로 미숙아 망막증 발생 여부에 대한 선별검사를 시행했다. 치료법은 3단계 이상의 망막증이 발생하는 경우 수술 혹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 삽입술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재태주수 37주 미만인 아기를 미숙아, 출생 당시 체중이 2.5kg 미만인 아기를 저체중 출생아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체중이 15kg 미만인 극소 저체중 출생아로 과거에는 생존 한계라고 간주되던 극소 미숙아도 살려내고 있다.

윤 교수는 “AsianNeo를 통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의 설문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주산기·신생아 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지역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추후 참여 국가의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연구 의미를 설명했다.


한국신생아네트워크(KNN) 의료질향상 위원장이자 국제협력소위원으로도 활동중인 윤 교수는 “미숙아 망막증은 치료 가능한 실명의 원인이라는 점에서 선별 검사의 중요성이 있고, 미숙아 망막증 발병률은 신생아 관리의 많은 단계를 포괄하기 때문에 신생아중환자실 관리의 품질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지표로 볼 수 있으므로 개별 국가 상황에 합당한 체계적인 선별 검사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영아 교수, 여의도 성모병원 김세연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영아 교수, 여의도 성모병원 김세연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