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지하수 난개발에 멍드는 지구...우리나라는?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27 06:00

수정 2023.10.27 06:00

[파이낸셜뉴스] 전세계 곳곳에서 지하수 난개발에 따른 환경피해가 커지고 있다. 멕시코 멕시코시티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는 지하수 난개발로 지반이 붕괴되는 현실에 직면했다. 더욱이 지하수 물높이를 감소시키고,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가면서 지구의 물 질량 분포가 바뀌고 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에도 변화를 주면서 이상기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결과마저 나오면서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는 모습이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전경./연합뉴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전경./연합뉴스

지하수 난개발, 도시 지반 침하 불렀다

지난 2019년 8월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수도를 현 자카르타에서 보르네오섬 누산타라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24년부터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2045년까지 인구 150만 명이 이주할 예정이라고 한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도를 옮기는 것은 지하수 난개발에 따른 지반침하가 원인이다. 자카르타는 인구 1000만 명의 생활 터전인 곳이지만 상수도 보급률은 약 60%밖에 되지 않는다. 지하수 추출에 대한 규제도 미흡하여 지하수를 뽑아 쓰는 곳이 증가한 것도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이다. 인프라 구축이 미비한 상태에서 쓰레기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상수원 오염이 심각해지고 이는 곧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 하락에도 영향을 끼쳤다.

멕시코시티 역시 지반침하 겪고 있는 도시 중 하나다. 멕시코시티는 고산도시로 강이 거의 없고 물이 고일 곳도 없다. 이 때문에 지하수를 땅속 대수층에서 퍼올려 물을 조달하고 있다. 하지만 인구가 급증하면서 지하수의 개발량이 함양량을 초과해 지하수 물높이가 감소했다. 멕시코시티는 지난 100년 동안 12m 정도 가라앉았고, 지반이 완전히 침하하기까지 이제 약 30m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과 홍수 피해를 겪는 인도네시아 파리 섬./연합뉴스.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과 홍수 피해를 겪는 인도네시아 파리 섬./연합뉴스.

해수면 상승으로 이상 기후 발생↑

지하수 난개발이 해수면 상승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지구의 자전축이 바뀌었다는 연구도 최근 발표됐다.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연구팀은 지난 6월 물리학 연구레터에 '1993~2010년 지하수 고갈이 지구 해수면 상승의 원인이라는 것이 지구 극점의 이동으로 확인됐다’는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빙하 융해와 함께 지하수 남용이 자전축 이동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1993~2010년 인류가 퍼올린 지하수는 2조1500만t에 이른다. 땅 밑의 수량이 줄어들고 그 물이 바다로 흘러가게 되면 해수면 높이는 상승하게 된다. 지하수 개발이 활발한 인도와 미국 북서부에서 해수면 상승 속도가 특히 빠른 게 일례다. 연구팀은 지하수 개발로 17년 동안 해수면이 6㎜ 상승했다고 추산했다. 해수면이 높아지면 지구의 육지·해양 분포가 바뀌게 돼 자전축도 변화한다. 연구팀 측정에 따르면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지구 자전축은 동경 64도 방향으로 80㎝이동했다.

지구 자전축이 움직이면 기후도 변화하게 된다. 지역별로 받는 태양열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강우대(비가 내리는 구역) 등도 움직이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와 인간의 과도한 자연 개발로 인한 자전축 이동이 기후변화를 더욱 가속할 수 있는 셈이다.

전남 완도군 보길도 지하수 저류지./연합뉴스
전남 완도군 보길도 지하수 저류지./연합뉴스

지하수 사용 규제 및 통제관리 강화
전문가들은 자원으로서의 지하수에는 사용에 대한 규제, 물 가격 책정, 더 효율적인 관개 시스템 및 대수층이 다시 채워지는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해결책 등을 포함해 적절한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하수의 합리적인 개발·이용 및 보전·관리를 위해 '지하수법'에 따라 국가지하수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및 지하수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전국의 지하수 시설 수는 약 57만개이며, 이 중 생활용이 63%, 공업용이 24%, 농업용이 13%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는 도서·내륙의 물 공급 취약지역에 지하수저류댐을 설치해 버려지는 지하수 활용 및 인공함양 유도 중이다. 지하수 사용과 관련한 규제도 존재한다.
대용량 사용을 위한 허가 시 지하수영향조사를 통해 취수량 등 산정토록 의무화했으며, 미등록 관정(약 50만공)이 방치공으로 전락할 우려 방지하고 지하수 수질 및 수량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전수조사 및 △사용시설 등록전환, △미사용시설 원상복구(폐공)을 실시하고 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