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성장률 대신 물가 택한 韓...41개 선진국 중 25위 성장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0.29 14:48

수정 2023.10.29 14:48

IMF-OECD 회원국 비교분석
경제대국 11개국 중 성장률 8위·물가안정 2위
성장 대신 물가 선택...거시지표 트레이드오프

[서울=뉴시스]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엔데믹 이후 선진경제권의 성장률 성적표에서 우리나라는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다만 물가안정 지표에서는 상위권을 기록했다. 투자를 통한 성장 확대 대신 긴축 재정을 택하며 거지지표간의 '트레이드 오프'가 이뤄진 셈이다.

29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WEO)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2.6%에 이어 올해 1.4%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은행과 정부 전망치와 같은 수준의 예측이다.

엔데믹이 공식화된 지난해와 올해 2년 합산으로는 4.1% 성장세다. IMF가 분류하는 41개 선진경제권 가운데 미국(4.15%)에 이어 25위 수준이다. 41개국 평균 5.9%보다도 낮은 수치로 성장률 측면에서는 선진국 가운데 하위권이라고 볼 수 있다.

대신 인플레이션 지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선방이 두드러졌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5.1% 오른 데 이어 올해 연간으로 3.4% 상승할 것으로 IMF는 전망했다. 2년치 합산으로는 8.5% 상승해 41개국 평균 물가상승률 13.6%보다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41개 선진경제권 중에서도 6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지난 2년간 우리나라의 성장세가 낮은 대신 인플레이션이 억제되는 식으로 '거시지표 트레이드오프'가 이뤄진 것으로도 해석된다. 다른 주요국 역시 성장률을 낮출 경우 물가 상승도 억제되는 흐름을 보였다.

성장 저조...선진국 중 하위권 위치

엔데믹 이후 글로벌 성장률을 이끈 것은 개발도상국과 주요 관광국가였다. 마카오가 47.6%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아일랜드(11.4%), 안도라(10.9%), 몰타(10.7%), 아이슬란드(10.6%), 이스라엘(9.6%), 포르투갈(9.0%), 크로아티아(8.9%), 그리스(8.4%) 순이었다.

우리나라와 비교할 수 있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1조 달러를 웃도는 11개국 중에서는 스페인이 8.2%로 가장 높았고 호주 5.5%, 네덜란드 4.9%, 캐나다 4.7%, 영국 4.6%, 이탈리아 4.4%, 미국 4.15%, 한국 4.1%, 프랑스 3.5%, 일본 3.0%, 독일 1.3%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8위에 머물렀다.

소국들의 급성장 사례를 빼놓고 '경제 대국'들을 기준으로 세워도 우리나라의 성장세는 저조한 편이었다. 반도체 경기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진에 빠진 데 이어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역시 기대에 못미쳐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는 평균치 부근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2021년 말(기준치 100) 대비 올해 2분기 말 실질 GDP는 102.3으로 2.3% 증가했다. OECD 38개국 가운데 16위 수준의 성장세다.

건전재정 우선...물가는 선방

명목 GDP 1조달러 이상 11개국의 물가상승률은 일본이 2년간 5.7%로 가장 낮았고 이어 우리나라가 8.5%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캐나다(10.4%), 프랑스(11.5%), 스페인(11.8%), 미국(12.1%) 순이었다. 특히 영국의 물가 상승폭은 16.7%로 인플레이션이 심하게 나타났다.

OECD 기준으로도 물가지표는 양호한 편이다. 지난 2021년 12월(기준치 100) 대비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9월 108.6으로 8.6% 올랐다. 9월 물가지표까지 비교할 수 있는 34개국 중에서 스위스(104.7)·일본(106.1)·이스라엘(108.3)에 이어 4번째로 낮은 증가폭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상반기부터 "물가를 잡는데 우선 총력을 기할 것"이라며 "물가가 잡힌 이후 경기쪽으로 '턴' 해야 한다"고 긴축기조를 강조해왔다.

경제 전문가들 역시 우리나라 경제 회복의 선결 과제로 물가를 꼽고 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당연히 선결돼야 할 시급 과제는 물가"라며 "인플레이션이 잡혀서 가계 부담이 내려가고, 기업 투자도 활발해져서 양질의 일자리가 생겨나는 것이 출발점"이라고 진단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