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갈길 먼 부산 원전해체 산업…업계 "앵커기업 부재" 우려

뉴시스

입력 2023.10.30 09:03

수정 2023.10.30 09:03

업계 "수도권, 대전·충남권역 기업들이 컨소시엄 꾸려 대부분 용역 따내" 원전해체 기술개발 위한 정부과제 20개 중 부산 기업 참여 1건 불과
[부산=뉴시스]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 발전소 전경 (사진=고리원자력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 발전소 전경 (사진=고리원자력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이동민 기자 = 고리원전 1호기가 이르면 내년 6월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원전 해체시장에서 부산에 소재한 기업이 들어갈 자리는 비좁기만 하다. 업계 내부에서는 지역 원전 해체 산업을 이끌어갈 앵커 기업이 없다는 지적과 함께 '부산 기업 없는 부산 원전 해체'라는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30일 지역 원전 업계의 주장을 종합하면 부산의 원전 해체 산업을 이끌어갈 앵커기업 부재로 인해 정부가 원전 해체를 위한 각종 연구과제나 대규모 사업에서 응찰하기 어렵다는 것이 공통된 지적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고한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사업' 과제 총 20건(지원 규모 약 153억원) 중 부산 소재 민간기업이 참여하기로 한 과제는 단 1건에 불과하다.

임영하 부산원전전문기업협의회 회장은 "정부에서 연구과제를 발주하면 수도권역이나 대전·충남권역에 있는 앵커 기업과 지역 업체들끼리 컨소시엄을 꾸려 대부분의 용역을 따내는 실정"이라면서 "원전만 부산에 모여 있을 뿐이지 정작 업계의 중심을 잡아 줄 곳이 없어 입찰에 참여해도 따내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고리 1호기 해체 설계용역을 맡은 한국전력기술(KEPCO E&C·한전기술)이 하청을 낼 경우 한전기술 협력 업체 중 부산 소재 기업의 비중이 적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전기술이 지역별 등록 업체 수를 밝히기 꺼려하고 있지만 부산 소재 기업 수는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 관계자는 "원전 해체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수된다면 한전기술 협력사가 대부분의 하청을 맡을 텐데 이 협력사 리스트 중 부산 소재 기업의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체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때 지역 기업이 제대로 참여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부산시청 원자력 조직이 축소돼 지원이 더디다는 업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시는 2014년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실 단위 원자력 안전 전담부서(원자력안전실)를 신설했으나 2016년 2월 개편 후 현재는 시민안전실 산하 원자력안전과로 운영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조직 축소로 지자체 차원에서의 원자력 해체 산업 육성에 관한 지원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볼멘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원자력안전과 관계자는 "조직이 축소돼 지원이 더딘 것보다는 정부에서 내려오는 관련 예산이 부족해 기업을 지원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면서 "시 차원에서도 기업들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을 추진해 반영하려는 등 충분히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소통해 해결 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고리 1호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가동된 상업형 원전으로 1977년 6월 첫 시험 가동(상업 운전은 1978년 4월) 후 40년 만인 2017년 6월 영구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
고리 1호기 해체 비용은 약 8100억원으로 추산된다.

원전해체 시장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경제자문업체 베이츠화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규모는 2030년까지 12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astsk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