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中 건설 생산 10% 떨어질 때마다...우리 GDP 0.4%↓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08 12:00

수정 2023.11.08 12:00

KDI, 中 건설업 위축 영향 및 중장기 시사점
단기적 영향으로 수출 감소 우려
수출 다변화 시장에서 中 경쟁자 위치로
"구조개혁 지속하고 국가 경쟁력 높여야"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중국 건설업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나라 GDP는 0.4%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의 건설자재 생산 및 운송과 밀접한 화학산업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이 모두 위축되며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도 덩달아 줄어들어서다. 중간재 수출을 받아줄 다른 나라에서는 오히려 중국이 새로운 경쟁자 위치로 올라서는 분위기다.

KDI는 8일 '中 건설업 위축 영향 및 중장기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중국 부동산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대두되고 있다"며 "중국과 밀접한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점증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는 하락세를 보이는 중이다. 우선 중국의 주택가격은 2012년 7월 정점을 찍은 이후 하향세로 전환했다.
최근 약간의 반등 기미를 보이며 2019년 초 수준을 회복했지만 여전히 정점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가격하락으로 부동산 투자 역시 전년에 이어 10% 가량 급락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중국의 부동산 경기 하락이 우리 경제에도 파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우려가 많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헝다와 바구위안 등 중국 대형 부동산 기업이 연쇄 디폴트를 맞으며 금융 위기론이 부상했고, 중국 내부에서도 산업 구조가 기술 관련 사업으로 전환되는 중이다. KDI는 "중국의 위상 변화가 우리와 중국 간 무역구조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주택가격 및 부동산투자 증가율/사진=한국개발연구원
중국의 주택가격 및 부동산투자 증가율/사진=한국개발연구원
단기적 측면에서는 우리 수출이 줄어드는 현상이 우선적으로 꼽힌다. 경기순환상 중국의 내수 소비 투자 가 변동하거나 생산차질이 발생할 경우 우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변동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특히 중국의 특정 산업생산에 일시적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부문의 중간재로 이용되는 우리 수출 상품이 감소할 수 있다고 봤다.

KDI 분석에 따르면 건설자재 생산 및 운송과 밀접한 화학산업,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위축이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중국의 중간재생산까지 끌어내리는 셈이다. 중국의 GDP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5%에 불과하지만 건설업 경기의 10%감소는 GDP를 2.4% 하락시키는 효과를 불러왔다.

중국의 중간재 주요 수입국인 우리나라 역시 이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거시경제 파급효과까지 감안할 경우 중국 건설업생산이 10% 감소하면 우리나라 GDP는 0.4% 정도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업별 생산에 미치는 영향 /사진=한국개발연구원
우리나라 산업별 생산에 미치는 영향 /사진=한국개발연구원
중간재 시장에서 중국이 경쟁자 위치로 부상한 것도 우려를 높이는 요소다. 국제분업구조의 변화로 중국이 자국의 중간재를 활용하거나, 혹은 제 3국에서 중국과 중간재 수출경쟁을 벌일 경우 우리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문제는 실제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이 가공된 후 제 3국으로 재수출되는 부분은 축소된 반면, 중국의 내수에 의존하는 부분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가공 후 제 3국으로 재수출 되는 비중은 2007년 37.2%에서 2014년 23.6%, 지난해에는 22.0%까지 낮아졌다.
과거 활발했던 한국에서 중국을 거쳐 다시 제 3국으로 가는 국제분업 관계가 약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KDI는 "국제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뚜렷한 단기 대책을 찾기는 어렵다"면서도 "수출 및 투자시장 다변화 등을 통한 위험 분산 전략은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한 긍정적 효과는 기업경쟁력을 전제로 한다"며 "진입장벽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제도 개편, 등의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역동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