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퇴근하던 시민들 기겁…서울 지하철에 쥐 나타나

한승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09 05:33

수정 2023.11.09 05:53

영등포구청역 2·5호선 긴급 방역 실시
서울 2·5호선 영등포구청역에 나타난 쥐의 모습. [사진 출처=연합뉴스·독자 제공]
서울 2·5호선 영등포구청역에 나타난 쥐의 모습. [사진 출처=연합뉴스·독자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 지하철 역사에 쥐가 나타났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매일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직장인 안모씨(32)는 지난 6일 밤 11시께 서울 2·5호선 영등포구청역 승강장 옆에서 쥐를 발견했다.

안씨는 "집에 가려고 지하철을 기다리는데 뭔가 움직여서 봤더니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쥐였다"며 "지하철역에 쥐가 돌아다닐 수가 있나. 정말 깜짝 놀랐다"라고 전했다.

안씨는 쥐가 지하철 승강장 근처에 나타나, 작은 구멍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밖으로 나오길 반복했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역사 내에서 쥐가 나타난 일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 5년간 전체 역사에서 쥐와 관련한 민원이 접수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쥐 방제를 포함해 회장실은 주 2회, 대합실과 승강장, 고객안전실(역무실)은 월 3회 방역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교통공사 영등포구청역 관계자는 "쥐나 바퀴벌레를 잡는 방역작업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며 "역내에서 쥐를 본 적이 없으며 신고가 들어온 적도 없다"라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구서제가 독극물이기 때문에 고객들이 없는 시간에 방역 작업을 할 예정"이라며 "쥐가 출몰된 2호선 구역뿐 아니라 같은 역사 내 5호선 구역까지 방역하겠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렙토스피라증이나 유행성 출혈열 등 전염병 상당수는 쥐를 통해 사람에게 옮겨진다.

렙토스피라증은 쥐의 배설물 속 바이러스가 사람의 피부, 결막, 점막을 통해 전염되고 발열과 두통, 오한, 심한 근육통을 일으킨다.
방치하면 합병증을 유발하는 고약한 병으로 알려져 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