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유통

"편의점은 픽업·슈퍼는 배달"...GS리테일 퀵커머스 실적 159% 늘었다

이정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15 16:09

수정 2023.11.15 16:09

GS리테일은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올해 1~10월 퀵커머스 매출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9% 성장했다고 15일 밝혔다. 고객이 GS25 점포에서 픽업 서비스를 통해 물건을 받고 있다. /사진=GS리테일
GS리테일은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올해 1~10월 퀵커머스 매출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9% 성장했다고 15일 밝혔다. 고객이 GS25 점포에서 픽업 서비스를 통해 물건을 받고 있다. /사진=GS리테일

[파이낸셜뉴스] GS리테일의 퀵커머스 실적이 눈에 띄게 성장했다. 편의점 GS25에서는 픽업 서비스가, 슈퍼마켓 GS더프레시에서는 배달 서비스 수요가 두드러졌다.
근거리 쇼핑 수요 외에도 온라인 장보기 수요까지 흡수하며 급성장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올해 1~10월 퀵커머스 매출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9.9% 성장했다. 특히 비(非)수도권 매장의 퀵커머스 매출은 201% 늘었다.

근거리 쇼핑 수요 외에도 새벽배송 등이 불가한 중소도시 내 온라인 장보기 수요까지 늘어난 영향이라고 GS리테일은 분석했다.

채널별로는 편의점의 경우 픽업서비스 비중이 70%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픽업 서비스는 고객이 우리동네GS 앱 등을 통해 미리 상품을 구매한 뒤 본인이 지정한 시간에 포장돼 있는 상품을 찾아가는 서비스다. 추가 이용료 없이 신속한 쇼핑이 가능한 점, 배달로는 주문이 불가능한 주류도 구매할 수 있는 점에 힘입어 픽업 서비스 선호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GS리테일은 설명했다.

GS더프레시에서는 배달 비중이 90%에 육박했다. 평균 주문 금액이 편의점보다 높은 만큼 픽업보다는 배달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축산물, 농산물 등 신선식품과 즉석 간편식, 유제품 등 장보기 상품이 슈퍼 배달의 주력 상품으로 꼽힌다.

GS리테일은 업계에서 가장 빠른 배달 속도를 퀵커머스 성장 배경 중 하나로 꼽고 있다. GS더프레시는 매장별 배송 차량과 함께 부릉, 바로고 등 전문 배달원을 활용해 매장 반경 2.5km 기준 1시간 배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엔데믹 전환으로 퀵커머스 이용자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근거리 장보기 수요를 효과적으로 공략하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퀵커머스, O4O 서비스 기반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해 GS25, GS더프레시 가맹점의 매출, 수익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clean@fnnews.com 이정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