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VIIM’ 주목하라

김태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0 18:40

수정 2023.11.20 20:00

한투운용 ‘인도&VIM 세미나’
中대체 생산기지로 4국 떠올라
국내서 펀드·ETF로 투자 가능
이상원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품전략본부장(상무)이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인도&VIM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제공
이상원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품전략본부장(상무)이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인도&VIM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제공
한때 큰 수익을 안겨줬던 '중국 투자' 시대가 저문다고 망연자실할 필요는 없다. 'VIIM'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Vietnam), 인도(India), 인도네시아(Indonesia), 멕시코(Mexico)가 주인공으로, 미국이 재편하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주축이 될 전망이다. 국내에서 직접 투자하기에는 다소 제약이 있는 만큼 펀드를 통해 그들의 미래에 투자할 수 있다.


이상원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품전략본부장(상무)은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인도&VIM 세미나'에서 "미국과 중국 패권전쟁 이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면서 중국의 대체생산기지로서 대안국가들이 떠오르고 있다"며 이 같이 전했다.

이 상무는 "베트남은 풍부하고 저렴한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을 육성하고 있고, 인도는 제2의 중국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멕시코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히고, 인도네시아는 자원부국에서 전기차 허브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4개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합계는 1280억달러로, 중국(1800억달러)의 71% 수준까지 커졌다. 배재규 한투운용 대표이사는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완화된다고 해서 이런 추세가 멈추진 않을 것"이라며 "전 세계 경제성장을 이끌어온 중국의 역할이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지로 이전되고 있다"고 짚었다.


김민수 CMK투자자문 대표는 "인도는 디지털사회로 전환이 이뤄지면서 글로벌 기업과 기관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며 "인건비 경쟁력과 정부 지원 아래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인프라, 내구재 및 임의소비재 등 제조업 분야를 살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투운용은 '한국투자인도5대대표그룹펀드' 'ACE 베트남VN30(합성)' '한국투자베트남그로스펀드' 등 베트남 펀드를 비롯해 멕시코와 인도네시아에 각각 투자하는 'ACE 멕시코MSCI(합성)'와 'ACE 인도네시아MSCI(합성)'를 보유하고 있다.


오혜윤 한투운용 해외투자운용부장은 "인도시장은 대표 그룹들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공격적 인수합병(M&A)을 진행하는 '승자독식' 구조"라며 "'한국투자인도5대대표그룹펀드'를 통하면 인도정부가 주도하는 미래 핵심 성장산업에 자동으로 투자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