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이재명 팬덤' 권리당원 표 가치 3배 높아졌다

최아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7 18:39

수정 2023.11.27 18:39

민주, 전대서 권리당원 강화 의결
대의원과 비중 차이 20대 1 미만
이재명 사당화 비판 속 내홍 격화
다음달 7일 중앙위서 최종 의결
더불어민주당이 27일 내년 8월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중을 대폭 늘리는 안건을 의결했다. 친명계와 강성 지지층인 '개딸'들을 중심으로 요청돼온 대의원제 축소를 당 지도부가 수용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이재명 사당화'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 내홍이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 당무위는 이날 회의를 열고 전당대회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중을 70%로 하되 비중 차이를 20대 1 미만으로 조정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현재 약 60대 1의 비율을 수정,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3배이상 높인 것이다. 의결된 당헌·당규는 오는 12월 7일 중앙위원회를 거쳐 최종 의결된다.


■공천 앞둔 손질에 "왜 지금인가"vs"지금이 적기"

김대중 정부 때부터 이어져온 대의원제는 당의 의결 과정에서 당세가 취약한 영남과 텃밭인 호남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개딸들을 중심으로 권리당원이 급증하며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구성 비율 격차가 커져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형평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 8월에는 김은경 혁신위원회에서도 대의원제 폐지를 요구해오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원래 권리당원 수에 따라 대의원 비율이 조정되곤 한다"며 "이런 얘기가 계속돼 오지 않았나"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혁신계를 자처하는 당내 비주류 의원들은 대의원제 비율 조정이 개딸의 영향력을 공고히 다지는 기반이 되었다고 지적했다. 개딸들의 요구를 수용해 팬덤 정치를 강화하면서 내년 전당대회에 이 대표가 재출마할 경우를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공천을 앞둔 시점에서 손질을 강행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반대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입맛에 맞춰 추진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종민 의원은 원칙과 상식 토론회에서 "민주적으로 결정하려면 내년 총선이 끝나고 나서 해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이원욱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권불삼년 화무십일홍"이라고 에둘러 비판했다.

■중앙위 최종 의결만 남아…이재명 "충분한 협의 거쳐 의견 모으겠다"

계속되는 우려에도 대의원제 축소는 중앙위에서 최종 의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기존 비율이 현실과는 동떨어졌다는 의견이 주류이기에 20대 1이라는 비율이 합당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라는 해석이다.


지도부가 확고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도 표결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민주주의 사회에서 표의 등가성은 매우 중요한 가치"라며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1인 1표제에 대한 열망이 매우 큰 것은 사실"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반대 의견에 대해서는 "당에는 다양한 입장이 있고 제도라는 건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이 아닌 서로 양해해야 하는 것"이라며 "이견이 있는 것은 당연하고 충분한 협의, 논의를 거쳐 의견들을 모아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act@fnnews.com 최아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