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AWS 리인벤트] 장립 카카오페이증권 CTO

[라스베이거스(미국)=임수빈 기자] "데이터센터는 물리적인 제한이 있다. 서버가 들어가는 공간을 유연하게 쓸 수는 없는 구조다. 이때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제한 없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장립 카카오페이증권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8일(현지시간) AWS '리인벤트(re:Invent) 2023'가 열린 베네시안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클라우드는 현재 제3의 데이터센터처럼 활용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지난 2020년 2월 펀드서비스를 출시하며 출범했다.
장 CTO는 "일단 카카오톡과 카카오페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여러 조건을 고려했을 때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더 많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고 했다.
하지만 AWS 환경 위에 많은 서비스들을 구동시키다 보니 비용 문제가 화두에 올랐다. 이에 올해 1월부터는 클라우드 비용 효율화 프로젝트를 시작을 했다. AWS가 자체개발한 서버 칩 '그래비톤' 기반 솔루션으로 워크로드(업무과정)를 전환한 결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봤다는 설명이다. 전체 워크로드를 전환하는 데는 3개월 가량의 시간이 걸렸다.
장 CTO는 "비용은 도입 전 대비 20% 줄었고, 성능 지표는 30% 향상했다"며 "모두 예상 이상의 지표였다"고 평가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