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근 청소년 마약 급증"…서울경찰, SPO 10주년 세미나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8 08:49

수정 2023.11.28 08:49

서울경찰청 전경 2022. 5. 16/뉴스1 ⓒ News1 황덕현 기자 /사진=뉴스1
서울경찰청 전경 2022. 5. 16/뉴스1 ⓒ News1 황덕현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서울경찰청은 학교전담경찰관(SPO) 발대 10주년을 맞아 지난 22일 'SPO 역할 재정립을 위한 세미나'를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선 청소년의 성장에 해악이 큰 범죄 순(마약·도박·학교폭력)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히 마약·도박과 관련해 △전문성 강화 △전문기관 연계 시스템 보완 △성별·연령·게임종류 등 패턴 분석을 통한 집중 대응 시스템 구축 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됐다.

서울경찰청 SPO는 지난 2013년 2월 20일 208명으로 발대한 이래 학교폭력과 청소년 범죄 대응을 맡아 왔다.

경찰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SPO가 도입되기 전인 2012년 14.2%에서 지난해 2.0%로 10년 만에 12.2% 포인트 감소했다. 학교폭력 검거 인원은 같은 기간 3257명에서 2014명으로 38.2% 줄었다.


소년범 검거 인원은 2012년 2만769명에서 지난해 8천572명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소년범 재범률은 지난 10년간 37.9%에서 23.9%로 줄었다.

경찰은 신체적·물리적 학교폭력이 감소한 반면 명예훼손·모욕 등 언어폭력과 성폭력이 크게 늘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또 청소년 마약과 도박, 도박 자금 마련을 위한 학교폭력·보이스피싱 등 2차 범죄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올해 1∼10월 서울에서 마약과 도박 범죄로 검거된 청소년은 각각 183명, 28명으로 지난해 1∼10월과 비교해 각각 297.8%, 154.5%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이날 토론회에서는 SPO의 B.I.(Brand Identity)도 최초로 공개됐다. SPO가 범죄로부터 청소년을 지키고 경찰이 청소년을 따뜻하게 보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SPO가 발대한 지난 2013년과 비교해 청소년을 둘러싼 치안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며 "이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마약·도박·사이버 등 변화된 치안환경을 고려한 대응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SPO의 역량도 꾸준히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