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북한군 'JSA 비무장화'도 폐기, 판문점 근무자 권총 착용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1.28 15:55

수정 2023.11.28 15:55

우리 군은 비무장 유지... "필요조치 차근차근 시행"
[파이낸셜뉴스]
지난 3월 3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국군이 근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3월 3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국군이 근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군 소식통은 28일 지난주 후반부터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근무하는 경비요원들이 권총을 차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과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에 이어 JSA 비무장화도 폐기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복수의 한미 군 소식통에 따르면 JSA 북측 경비요원들은 권총을 차고 근무 중이다. 다만, 우리측 JSA 경비요원들은 아직 비무장을 유지하고 있다.


JSA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도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인 대응 방안을 고심 중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이 JSA에서 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 우리측도 대응 측면에서 재무장이 나설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군 당국에 따르면 최근 북한군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 있는 갱도형 해안포의 개문 사례도 평소1∼2개소에서 10개소 이상으로 급증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9·19 군사합의에 따른 군사적 조치를 복원하는 움직임에 대해 "우리 군은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조치들을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도 "북한은 9·19 군사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고, 11월 24일부터 일부 복원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며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활동을 예의주시하면서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필요한 조치들을 차근차근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답변했다.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우리 정부가 22일 9·19 군사합의 중 '비행금지구역 설정'(제1조 3항)의 효력을 정지하자 당일 심야에 동해상으로 미상의 기습적인 탄도미사일을 발사를 추가로 시도했지만 실패한 데 이어 이튿날인 23일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어 지난 24일부터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DMZ 내 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진지를 복구하면서,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하는 등의 움직임이 우리 군 당국의 열영상장비(TOD) 등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

국방부는 지난 24일부터 북한군이 DMZ 내 최전방 초소(GP) 복구에 나선 모습이 우리 군의 열영상장비(TOD) 등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고 27일 밝혔다. 남북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를 통해 비무장지대 GP 시범 철수를 이행했지만, 북한은 지난 23일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GP를 철거했던 장소에 경계호를 조성하고 고사총(무반동총)을 배치한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지난 24일부터 북한군이 DMZ 내 최전방 초소(GP) 복구에 나선 모습이 우리 군의 열영상장비(TOD) 등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고 27일 밝혔다.
남북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를 통해 비무장지대 GP 시범 철수를 이행했지만, 북한은 지난 23일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GP를 철거했던 장소에 경계호를 조성하고 고사총(무반동총)을 배치한 모습. 사진=국방부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