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의로움 잊은 세상"...올해 4자성어된 '견리망의'

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0 17:21

수정 2023.12.10 17:21

[파이낸셜뉴스] '이익만을 추구하다 의로움을 잊었다'라는 뜻의 '견리망의'(見利忘義)가 올해 교수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4자성어로 뽑혔다. 또한 '적반하장'이 두번째로 교수들이 선택한 올해의 4자 성어였다.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정치현실을 꼬집은 4자성어라는 평가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1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의 사자성어로 응답자의 30.1%(396표)가 '견리망의'를 선택했다고 10일 밝혔다. 견리망의를 선택한 교수들은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들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나 자녀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 등도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건리망의는 논어 ‘헌문편(憲問篇)’에 등장하는 ‘견리사의(見利思義)’에서 유래했다.
이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하라’란 의미의 사자성어다. 견리망의는 이와 반대의 뜻으로 ‘이익을 보자 의로움을 망각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2위는 25.5%(335표)를 얻은 '적반하장(賊反荷杖)'이 차지했다. 적반하장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이다. 올해 우리나라 정치권이 서로 물어뜯고 엉뚱한 주장을 남발하는 모습을 빗댄 4자성어라는 평가다.

3위는 24.6%(323표)를 얻은 '남우충수(濫竽充數)'가 차지했다. 남우충수는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함부로 피리 부는 악사들 틈에 끼어 인원수를 채운다'는 뜻으로 실력 없는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한다.

4위 도탄지고(塗炭之苦)는 155표(11.8%)를 얻었다.
도칸지고는 ‘흙탕이나 숯불 속에 떨어졌을 때 느끼는 괴로움’을 의미한다. 도탄지고는 김현주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가 추천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와 전세 사기 등으로 인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민생고는 나아지지 않고 점점 더 괴로워져만 가는 국민의 생활고를 나타내기 적합하다”라고 설명했다.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가 쓴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 교수신문 제공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가 쓴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 교수신문 제공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