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상아탑 건물 더 커진다'···증축 규제 풀려

윤홍집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3 13:44

수정 2023.12.13 15:14


오세훈 서울시장이 13일 서울 홍익대학교에서 열린 '서울성장판 미래혁신대학 사례발표회'에서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3일 서울 홍익대학교에서 열린 '서울성장판 미래혁신대학 사례발표회'에서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려대와 연세대는 부족한 강의실, 연구실, 실험실 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당초 7층까지 건축계획을 10층으로 변경했다. 이를 통해 고려대는 정운오 IT교양관에 반도체 공학과와 스마트모빌리티 학부 등을 신설하고, 연세대는 반도체클린룸과 연구실험실을 충분히 확보하게 됐다. 또한 성균관대, 서강대, 세종대, 이화여대, 중앙대는 인공지능(AI) 대학, 산학벨트 등 첨단시설 확보를 위한 신축 및 증축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주요 대학들이 혁신 캠퍼스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 변경을 추진중으로 올해까지 기본구상을 마치고 내년부터 기본 설계에 들어간다.
이같은 캠퍼스 공간 확보는 서울시의 대대적인 규제 완화 덕분이다. 서울시는 용적률과 높이 규제를 대폭 완화해 대학 내 공간활용도를 대폭 높이기로 했다. 이를 통해 대학이 창업과 기술혁신 거점 역할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이날 서울 마포구 홍익대에서 대학 공간혁신 사례를 공유하는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모임에는 오세훈 시장과 함께 홍성태 서울총장포럼 회장(상명대 총장), 고려대,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이화여대, 중앙대, 홍익대 등 8개 대학총장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이번 자리를 계기로 더 많은 대학이 저마다의 특성을 살려서 창의적인 핵심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릴 수 있는 공간혁신을 실현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대학의 혁신이 곧 도시의 혁신을 도모할 핵심 엔진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세대 제5공학관 조감도. 서울시 제공
연세대 제5공학관 조감도. 서울시 제공
앞서 오 시장은 지난해 12월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들을 위한 '도시계획 지원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동안 서울 소재 대학들은 신산업 진출을 위한 관련 학과 증설이 필요한 상황임에도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주변 확장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용적률 여유도 없어 증축마저 어려웠다. 서울시내 대학은 주변으로 확장도 어렵고, 약 26%에 해당하는 대학이 용적률이 꽉 차 더 이상 증축이 쉽지 않았다. 서울 소재 54개 대학 중 14개교가 용적률 80% 이상 사용하고 있다. 오 시장의 모교인 고려대의 경우 우후죽순 신축관이 들어서면서 답답함을 호소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다. 시는 대학들의 이 같은 어려움을 공감하고 지난 7월부터 도시계획조례를 개편해왔다.

조례용적률을 1.2배까지 완화할 수 있는 '혁신성장구역'을 도입하고, 주변에 영향이 없는 경우 자연경관지구 내 대학시설의 높이 제한도 과감히 없앤다.

시는 향후 '오세훈표 미래 혁신 대학'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사전 기획 단계에서부터 도시계획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또 대학의 부설주차장 설치 기준 및 환경영향평가 절차 등 인허가 과정에서 기준도 현실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사업실행 단계에서 혁신방안도 후속 발표한다.

각 대학은 올 하반기부터 개정 조례 시행에 맞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등 공간혁신을 위한 기본구상(안)을 마련해 왔다.
이미 용적률이 한도에 도달한 홍익대의 경우 혁신성장구역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혁신캠퍼스 설계가 가능해졌다.

홍익대 혁신성장 캠퍼스 기본구상(안)은 현대미술관과 아트센터, 첨단공학센터와 산학협력공간 및 지역 기여시설로 구성될 공간을 연결시키고 홍대 주변 지역의 문화적 활성화와 산업과 학문과의 연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안하고 있어 공간혁신의 선도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성태 서울총장포럼 회장은 "서울 소재 대학의 공간 부족 문제가 심각해 산학연 과제 및 국책과제 등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이번 서울시 지원방안으로 신·증축이 가능해져 산학협력 연구 활동 강화와 교육환경이 개선되어 서울권 대학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강대 지덕체융합관 투시도.서울시 제공
서강대 지덕체융합관 투시도.서울시 제공
banaffle@fnnews.com 윤홍집 최재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