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청년취업 13개월째 쪼그라든 암울한 현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3 18:17

수정 2023.12.13 18:17

은둔·고립청년 75%는 자살도 고민
기업활력 높여 일자리 확대 유도를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1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1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석달 만에 다시 20만명대로 내려앉았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10월 34만6000명(전년동월 대비)까지 확대됐다가 지난달 27만7000명으로 줄었다. 20만명대 증가 폭이 연간 단위로 볼 때 낮은 수준은 아니라는 게 당국의 분석이다. 그러나 청년층(15~29세) 취업자와 제조업 취업자는 각각 13개월, 11개월째 줄었다.
성장동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는 낙관적으로만 볼 게 아니라 경각심을 갖고 근본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60세 이상을 빼면 취업자가 증가한 것이 아니라 도리어 줄었다. 사회초년생인 20대는 4만명 넘게 감소했다. 학업을 마치고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의 서글픈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전체 청년층 취업자는 6만7000명 줄어들었다. 청년층 인구 자체가 감소한 영향도 있겠지만 전부는 아니다.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기업 투자가 줄고 채용 문이 계속 닫히고 있는 것이다.

열악한 취업환경에서 청년들은 무기력해지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 3000여명을 대상으로 취업인식도 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6명이 구직 기대가 낮은 소극적 구직자로 나타났다. 이들은 의례적으로 구직을 하고 있거나 아니면 '거의 안함' '쉬고 있음'에 해당됐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이는 20%에 불과했다. 산업 현장에 청년들 진입이 그 정도로 힘들다는 뜻인데, 보고만 있을 순 없지 않은가.

정부가 이날 발표한 은둔·고립청년 실태도 충격적이다. 1만5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은둔청년 75%가 자살을 생각한 적 있다고 답했으며 26.7%는 실제로 자살 시도를 해봤다고 한다. 국내 은둔청년은 대략 54만명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80%는 현재 상태를 벗어나고 싶다고 답했으며 67%는 복귀를 시도했지만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고 했다.

이들을 따뜻한 손길로 사회 속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국가가 할 일이다. 정부는 은둔·고립청년을 조기에 찾아내는 체계를 만들고 전담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을 내놓기 바란다.

직장이 없는 청년, 외톨이 청년 문제는 당사자는 말할 것도 없고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이자 고통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국가소멸을 걱정해야 할 정도의 심각한 저출산 병폐도 앓고 있다. 0.7명으로 떨어진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흑사병이 돌던 중세에 빗댄 외신도 있다. 청년들이 당면한 어려움을 국가가 풀어주지 못하면 지금보다 더한 저출산 늪에 빠질 수도 있다. 변변한 직장이 있어야 결혼의 꿈이라도 꿀 수 있지 않겠는가.

청년세대를 흡수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려면 정부와 기업이 함께 뛰어야 한다. 결국 기업을 도와줘야 취업이 늘어난다. 말만 많았지 여전히 산업계 구석구석에 기업의 숨통을 죄는 대못이 그대로 박혀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규제혁파에 불꽃이 튈 정도로 경쟁을 해보라. 제조업, 유통업의 발목을 잡는 법안들이 수두룩하다.
글로벌 스탠더드와 동떨어진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개선하고 고용유연성을 높이는 것도 절실하다. 프레임에 갇혀 한 발짝도 못 뗀 근로시간 개편도 다시 속도를 내야 한다.
일터 여건부터 고쳐야 희망의 불씨를 살릴 수 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