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KB금융지주 양종희 첫 인사 키워드는 전문성·내부승진

박소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4 16:55

수정 2023.12.14 17:16

KB증권·KB손보·KB자산운용 내부 출신 '발탁'
부회장 후보 발표 제외‥ 폐지 관측
왼쪽부터 이홍구 KB증권 WM부문 대표 후보, 구본욱 KB손보 대표 후보,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 후보(KB금융지주 제공) 사진=뉴스1
왼쪽부터 이홍구 KB증권 WM부문 대표 후보, 구본욱 KB손보 대표 후보,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 후보(KB금융지주 제공) 사진=뉴스1

왼쪽부터 빈중일 KB캐피탈 대표 후보, 성채현 KB부동산신탁 대표 후보, 서혜자 KB저축은행 대표 후보. (KB금융지주 제공) 사진=뉴스1
왼쪽부터 빈중일 KB캐피탈 대표 후보, 성채현 KB부동산신탁 대표 후보, 서혜자 KB저축은행 대표 후보. (KB금융지주 제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의 첫 계열사 대표 인사는 전문성에 기반한 내부 인사 승진으로 요약된다. 양 회장은 계열사 8개 대표 중 6곳을 교체하는 큰 폭 인사를 단행했지만 주력 계열사 내부에서 핵심 인재를 발탁하면서 KB금융그룹의 안정을 도모하면서도 조직 내에 활기를 불어넣는 '양종희식' 인사 스타일을 선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존치와 폐지를 놓고 관심을 모은 KB금융지주 부회장 제도는 부회장 후보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폐지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 계열사 전문가 내부 승진·다양성 '추구'


KB금융지주가 14일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를 열고 추천한 KB증권·KB손해보험 등 8개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는 전문성을 앞세워 내부 출신 인사를 대거 발탁한 것이 특징이다.

박정림 사장 후임 KB증권 WM부문 대표이사 후보로 내부 출신인 이홍구 현 KB증권 WM영업총괄본부 부사장, 김기환 사장 후임 KB손해보험 대표이사 후보에는 역시 내부 출신인 구본욱 현 KB손해보험 리스크관리본부 전무, KB자산운용에도 내부 출신인 김영성 현 KB자산운용 연금&유가증권부문 전무를 승진시켜 각각 후보로 추천했다. 그동안 KB의 업무문화와 스타일을 전파하기 위해 KB국민은행에서 계열사 대표를 선임했다면 이제는 계열사 내부에서 핵심 인재를 발탁해 대표로 선임할 만큼 KB금융그룹의 전 계열사가 전문성을 충분히 갖췄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그동안 'KB화(化)'를 빨리 하기 위해 국민은행에서 다른 계열사 대표로 갔다면 이제는 각 계열사 내부에서 선임하는 것 같다"라며 "그런 큰 그림을 윤종규 전 회장부터 그려오지 않았나 싶다"고 분석했다. 실제 대추위는 이번 인사에 대해 "계열사 핵심인재 발탁을 통한 그룹 내 인적 경쟁력 강화와 조직 내 활력을 제고했다"고 설명했다.

다양성 차원의 인사도 엿보인다. KB저축은행 대표이사 후보로 여성인 서혜자 현 KB지주 준법감시인 전무가 추천된 것은 조직 내 다양성 강화 차원으로 해석되는 인사다. KB캐피탈은 빈중일 현 국민은행 구조화금융본부장이, KB부동산신탁에는 성채현 현 국민은행 영업그룹 이사부행장, KB저축은행에는 서혜자 현 KB금융지주 준법감시인 전무가 추천되면서 일부 계열사는 지주사와 은행 출신 임원들이 이동하기도 했다.

■부회장제 역할다했나‥폐지 수순?

이번 인사에서는 KB금융지주의 부회장 후보가 언급되지 않았다. 이에 부회장 제도 존폐 여부는 이달 말 예정인 임원 인사 및 직제 개편이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부회장제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이번 인사로 교체된 계열사 CEO 인사가 없을 경우 KB금융지주에서 부회장제는 폐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안팎에서는 KB금융지주가 부회장 제도를 폐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양 회장이 취임한 지 아직 한 달도 안 된 데다 금융감독원에서 부회장 제도의 양면성을 언급한 만큼 제도 정비의 필요성도 있어서다.

앞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2일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들과 만난 후 "부회장 제도의 경우 셀프 연임보다는 훨씬 진일보한 제도이지만 폐쇄적으로 운영돼 신임 (인사) 발탁 등 경쟁력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KB금융지주 입장에서도 부회장제를 유지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
지난해에는 윤종규 당시 회장 임기 종료를 앞두고 차기 회장 후보군을 등용해서 경영 능력을 평가받는 자리로 삼았다면 지금은 양 회장이 취임한 지 3주 밖에 되지 않았고 지난달 허인·이동철 부회장이 사임하며 부회장직이 자연 소멸 수순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다만 부회장제 유지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차기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인사를 일찍이 양성·관리하는 차원에서의 부회장제가 가진 장점도 있어서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