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지난해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인 초혼 신혼부부가 10쌍 중 3쌍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가 23만4066쌍(28.7%)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5년에는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이 21만2733쌍으로 18.0%를 차지했지만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늘어나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맞벌이·유자녀 부부는 23만2459쌍으로 28.5%로 집계됐고, 이어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6531쌍·15.5%)가 뒤를 이었다.
2015년에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는데, 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두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나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로 진단하고 있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 높아졌다.
특히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면서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으로 집계됐으며, 1000만∼3000만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으로 나타났다. 5000만원∼7000만원 미만의 경우 0.66명, 7000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으로 집계됐으며, 지난해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8433만원으로 외벌이(4994만원)의 1.7배로 나타났다.
한편 자녀를 가져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는데, 결혼생활 기간별로 보면 결혼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 아이를 낳은 비중이 2012년 5.3%였으나 지난해 11.5%로 2배로 뛰었다.
이는 결혼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