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게임

엔씨의 선택과 집중…‘AI 금융’ 접는다

임수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18 18:06

수정 2023.12.18 18:06

금융사 확보 어려워 3년 만에 철수
엔씨소프트(엔씨)가 인공지능(AI) 금융 사업을 접는다. 관련 분야 사업이 부진한 탓으로 경영효율화 작업을 진행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엔씨는 지난 13일 금융 AI 조직인 '금융비즈센터' 소속 직원들 4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조직 개편 설명회를 열고 사업 정리를 공지했다. 센터는 소속 직원을 상대로 전환 배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퇴사를 결정할 경우 최대 6개월의 급여를 위로금으로 지급할 방침이다.

2020년 게임 외 신사업 육성을 목표로 AI 기반의 금융 서비스 개발에 나섰지만 3년 만에 철수를 결정한 것이다.
사업 정리의 배경으로는 성과 부진이 꼽힌다. 실제 협력할 금융사를 찾기 어렵고, 투자 유치가 제한되는 등 엔씨는 사업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들어 엔씨는 경영 사정으로 정리하는 사업이 계속 늘고 있다. 1월 팬덤 플랫폼인 유니버스를 매각한 데 이어 5월 유니버스를 운영했던 엔터테인먼트 자회사인 클렙의 지분도 전량 매각했다.

엔씨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선택과 집중 전략을 실행하며 핵심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일부 조직의 개편 과정에서 인위적 구조 조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엔씨의 사업 정리는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엔씨는 10월 변화경영위원회를 출범해 경영 효율화 작업에 나서고 있고, 위원장은 3월 취임한 구현범 최고운영책임자(COO)가 맡았다.


한편 엔씨의 사내 어린이집 '웃는 땅콩'이 설립 10년 만에 독립재단으로 전환해 재출범한다는 소식이 알려져 경영 효율화의 일환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웃는땅콩은 엔씨가 정직원으로 채용한 보육 교사들이 엔씨의 임직원 자녀 300여 명을 사옥 내에 마련된 보육 시설을 통해 돌보는 형태로 운영돼왔다.


이에 대해 엔씨 측은 "어린이집 재단 설립의 가장 큰 목적은 재단 설립을 통해 독립·자율적 운영을 보장해 어린이집 자체의 전문성과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며 "경영 효율화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