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文정부 총리들’ 두고 줄다리기하는 이재명·이낙연

김해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26 16:02

수정 2023.12.26 16:29

정세균·김부겸 “이재명 독주도 이낙연 신당도 반대”
이낙연 ‘3총리 연대론’ vs 이재명 ‘공동선대위원장론’
김부겸 전 국무총리(오른쪽)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오찬 회동 전 취재진과 만나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김부겸 전 국무총리(오른쪽)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오찬 회동 전 취재진과 만나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신당 창당을 고리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이낙연 전 대표와 이 대표 간 힘겨루기가 정세균·김부겸 전 국무총리의 당내 통합 역할론과 엮이면서 양측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이 전 대표는 26일 오전 서울 모처에서 정 전 총리와 조찬을 겸해 약 1시간 동안 만났다. 이 전 대표는 “두 사람은 국가와 민주당의 문제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며 “두 사람은 적절한 상황이 조성된다면 김 전 총리를 포함한 3총리 회동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공지했다. 둘의 만남은 지난 24일 성탄 전야 행사에 함께 참석한 데 이어 이틀 만이다.


이 대표 사법 리스크와 편향적인 당 운영 등을 지적하며 연말까지 사퇴하지 않으면 신당을 만들겠다는 이 전 대표가, 함께 문 정부 총리를 지낸 두 당 원로의 공감을 얻어 명분을 쌓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동안 정치 행보를 멀리하던 정·김 전 총리는 최근 이 대표 체제를 비판하며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민주당이 쇄신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둘은 지난 24일 조찬 회동에서 당내 공천 잡음 및 이 전 대표를 향한 과도한 비난 등에 대해 우려하는 인식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 전 총리는 지난 20일 이 대표와 만나 “이 전 대표를 만나라”며 적극적인 당내 통합·쇄신 행보를 주문했다. 정 전 총리도 오는 28일 이 대표와 만날 예정이다.

3총리가 이르면 연내에 만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다만 정·김 전 총리가 이 전 대표 신당 추진에 대해서도 우려하며 합류 가능성에는 단호히 선을 긋고 있는 만큼 이들의 만남이 ‘3총리 연대’까지 갈지는 미지수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당초 세 분이 아주 원만한 관계는 아니어서 정·김 전 총리가 정치적으로 모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이 전 대표와 발을 맞추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서울 강북구 강북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김대중재단 서울 강북지회 출범식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적절한 상황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3총리) 모임도 어려울 것"이라며 "의미 있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도 두 전직 총리와의 만남을 여론전으로 활용하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혁신계를 자처하는 당내 비명계 의원 모임 원칙과상식이 제안하고 이 전 대표가 ‘공감한다’고 밝힌 통합 비상대책위원회 대신 통합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을 염두에 뒀다는 말도 나온다. 이 전 대표를 포함한 세 전직 총리에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 민주당 공식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28일 이 대표와 정 전 총리 간 만남이 당 분열 여부의 가늠자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왼쪽)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순복음교회 십자가탑광장에서 열린 성탄 전야제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div id='ad_body3' class='mbad_bottom' ></div> 오른쪽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시스
정세균 전 국무총리(왼쪽)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순복음교회 십자가탑광장에서 열린 성탄 전야제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시스
glemooree@fnnews.com 김해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