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美 보조금 받는 전기차, 80%가 K배터리 탑재

권준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12.27 17:46

수정 2023.12.27 17:46

뉴스 1 제공
뉴스 1 제공
美 보조금 대상 전기차 배터리
한국
LG에너지솔루션 22종(SK온과 8종 중복)
SK온 10종
삼성SDI 7종
중국
CATL 1종
AESC 2종
일본
파나소닉 6종
(출처: 배터리 업계)
[파이낸셜뉴스] 올해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는 전기차종의 80% 정도가 한국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17종)과 비교해 7개월새 14종이 늘어난 것이다. 중국 배터리 업체 제품을 사용하는 차종도 일부 포함됐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내년부터 해외 우려 기업(FEOC)에서 조달하는 배터리 부품 사용 전기차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는 만큼 우려할 문제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40종 중 31종, 韓 배터리
27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는 전기차 40종 가운데 31종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다. 미국 정부는 현재 IRA 감축법에 따라 조건을 충족한 전기차를 구매하는 미국 소비자에게 최대 7500달러(약 98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가장 많은 22종 전기차에 배터리를 보급하고 있다. GM 캐딜락과 쉐보레 전차종을 포함해 크라이슬러 파시피카, 포드의 머스탱 마하-E(익스텐디드·스탠다드), E-트랜짓, 링컨 에비에이터에도 배터리를 납품한다. 테슬라 모델 3 기본형·롱레인지·퍼포먼스와 폭스바겐 차종 8종에도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탑재된다.

SK온은 포드 F-150라이트닝(익스텐디드, 스탠더드)와 폭스바겐 차종 8종 등 전기차 10종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폭스바겐은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에서 모두 배터리를 납품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SDI는 아우디 Q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콰트로, 지프 그랜드체로키·랭글러와 포드 이스케이프, 링컨 코세어, 리비안 R1S·R1T 등 7종에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 아우디 Q5 차종의 경우 이달 12일 새롭게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됐다.

올해 4월 같은 조건 차종이 17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82% 이상 늘어난 셈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은 최종 소비자가 받기 때문에 배터리사들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면서도 “하지만 가격 경쟁력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접적인 영향은 있다”고 설명했다. 4월 발표 당시 보조금 지급 대상 전기차는 총 22종이었다.

中 배터리 전기차도 보조금 포함
한 가지 눈에 띄는 것은 중국산 배터리 탑재 전기차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10월 말 보조금 지급 명단에 추가된 닛산 ‘리프 S’와 ‘리프 S 플러스’의 경우 중국 배터리 업체 AESC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AESC는 일본 닛산자동차 등이 설립한 업체로 지난 2019년 중국 엔비전그룹이 인수했다. 이밖에도 배터리 업계는 올해 6월부터 보조금 목록에 추가된 독일 완성차 BMW X5가 중국 배터리 업체 CATL 제품을 탑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으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배터리 업계는 ‘큰 우려 사항은 아니다’는 입장이다. 최근 미국이 FEOC 세부 발표를 통해 중국 자본 지분 25%를 넘는 배터리 합작사 제품을 사용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 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향후 중국 배터리 탑재 전기차가 보조금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터리 부품의 경우 내년부터, 배터리 핵심 광물은 2025년부터 FEOC에서 조달 받지 않아야 한다.

최근 테슬라가 일부 모델에 대해 내년부터 세액공제가 끝났다고 공표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테슬라는 지난 12일 자사 북미 웹사이트에 "새로운 IRA 지침에 따라 모델3 후륜구동(RWD)과 모델3 롱레인지에 대한 세금공제가 올해 12월 31일에 종료된다"고 밝혔다.
업계는 해당 모델들에 중국산 배터리가 탑재됐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도 해당 모델들에 배터리를 일부 공급하고 있어 세액공제가 중단되면 간접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아직 세액공제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며 "상황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