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사람처럼 보고 듣고 말한다… '멀티모달 AI' 패권 경쟁 [신년기획 2024 K-엔진을 다시 켜라]

김준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03 18:18

수정 2024.01.03 18:18

뉴노멀 시대, 디지털 전환 (3) '더 똑똑한 AI' 일상 속으로
문자·그림·영상·음성 동시 처리
삼성 등 '온디바이스AI' 개발
스마트폰·XR기기 등에 탑재
美·EU 'AI 규제' 법안 추진
개인정보 보호 방안 마련해야
사람처럼 보고 듣고 말한다… '멀티모달 AI' 패권 경쟁 [신년기획 2024 K-엔진을 다시 켜라]
지난해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초거대 AI 등에 대한 개념이 널리 퍼진 'AI 원년'이라면 올해는 AI가 생성 관련 애플리케이션(앱)뿐만 아니라 통화 발·수신, 통역 등 일상 속에서 AI를 더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해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특히 글, 그림 등에 대한 맥락 이해 및 분석을 넘어 인간의 언어, 복잡한 영상 등의 맥락을 듣고 보고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AI 관련 기업들은 올해 AI 적용 관련 비용절감 외 다양한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 글로벌 진출과 보안 등이다.

글로벌 거대기술기업(빅테크)이 AI가 익숙하지 않은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도 점차 확장하는 등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이 이미 시작된 만큼 올해는 국내 AI 모델에 대한 차별화를 보다 명확하게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멀티모달 AI 쓰임새가 늘어나면서 AI가 일상 속으로 더 깊이 들어오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 등 보안체계 강화를 통해 신뢰성·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도 관건이다.


■멀티모달 AI 고도화 기대감

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온디바이스AI 개념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온디바이스AI는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AI칩 등을 기반으로 기계가 자체적으로 AI 관련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디바이스 운영체제 안에서 제3자 소프트웨어 또는 앱을 기반으로 AI 기능을 지원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개념이다.

온디바이스AI를 중심으로 기업·개인간거래(B2C) 분야에선 AI가 자연스럽게 대중에게 더 친근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 기능이 통·번역 기능이다. 이미 국내에선 SK텔레콤이 AI 개인비서 앱인 '에이닷(A.)'을 통해 해당 기능을 선보인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달 공개 예정인 갤럭시S24 시리즈에 이 같은 기능을 탑재한다.

모바일 업계에선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애플 등 경쟁사들도 올해 신제품에 온디바이스AI 기능을 탑재하는 데 역량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외 확장현실(XR) 기기, 노트북 등 온디바이스AI 분야를 넓혀 나갈 것이란 전망도 지배적이다. AI가 통화번역 등 분야에도 진출하면서 '멀티모달 AI' 성능 고도화도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란 게 업계 관측이다. 멀티모달AI는 문자, 그림, 영상, 음성 등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등 여러 채널과 맥락을 종합적으로 학습하고 사고할 수 있는 AI다.

지난해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3)에서 몇몇 통신사는 디바이스가 촉감을 전달하는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AI 기술을 개발하는 업계도 올해는 멀티모달 AI가 한층 발전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AI 제품의 성능을 높이는 데 힘을 쓰고 있다"며 "언어모델만으로 충족할 수 없는 멀티모달 시장에 대한 경쟁도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보안 더 중요… 규제도 대비해야"

AI가 일상 속으로 더 깊게 들어오면서 개인정보 보호 등 보안의 중요성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서구권에서도 AI규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만큼 기업 입장에선 규제 대비도 중요해질 것이란 관측이다. 토종 AI 상품 글로벌화는 내년에도 우리 기업에 여전한 과제다.

우선 보안 등에 대한 책임 소재가 기업에 더 분명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AI가 단순업무 작업에 적용되는 것을 넘어 전화 등 프라이버시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보안·개인정보 문제가 더 민감해질 가능성이 높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프라이버시 정보가 어딘가에 기록된다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운 것"이라며 "AI 일상화 시대에선 클라우드가 보안이 뚫리거나 고장나면 기업 입장에선 이전보다 더 큰 리스크,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스탠더드 입장에선 규제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유럽연합(EU)의 AI 관련법 합의, 미국 행정부의 AI 행정명령 등을 우리 입장에서도 무시하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EU,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관련 논의는 자국 내 정보보호 등에 대한 기준이 담겨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 입장에서도 반드시 참고해야 할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AI산업 육성 및 신뢰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 등 AI 관련법이 국회에 발의돼 있지만, 아직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올해 총선 이후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