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저학력 남성, 고학력 여성일수록 결혼 안 한다"....30대 미혼율, 20년 만에 3배↑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08 12:00

수정 2024.01.08 12:00

‘초혼 연령’ 남성 33.7, 여성 31.3세
평생 결혼하지 않는 비중도 14%
미혼 남성·기혼 여성 확대되면 노동력↓
결혼 기회비용 낮추고 미혼 노동공급 확대해야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파이낸셜뉴스]30대 미혼율이 20년 만에 3배 넘게 급증하면서 10명 중 4명이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저학력일수록, 여성은 고학력일수록 미혼율이 높은 가운데 지난 10년간 미혼 인구 증가에 따른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커 향후 미혼화 추세가 이어지면 노동시장이 위축되는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30대 미혼율 42.5%...“저학력 남성, 고학력 여성일수록 미혼”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제공.
8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의 연령대별 미혼율 변화에 따르면 30대 미혼율은 지난 2000년 13%에서 2020년 42.5%로 3배 넘게 높아졌다. 40대의 경우 같은 기간 2.8%에서 17.9%로 늘어났고 50대는 0.8%에서 7.4%로 10배 가까이 급등했다.

학력수준별 미혼 비중의 경우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핵심연령층(30~54세) 중 저학력 남성의 미혼 비중은 30.9%로 고학력 남성의 미혼율(27.4%)보다 3.5%p 높았다. 학력 수준에 따른 미혼비중 격차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돼 고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은(28.1%)은 저학력 여성의 미혼 비중(15.9%)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초혼연령은 남성의 경우 2000년 29.3세에서 지난 2022년 33.7세로, 여성은 같은 기간 26.5세에서 31.3세로 늘어났다.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의 비중인 생애미혼율도 지난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이에 미혼인구 비중은 전연령대에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전체 인구로 보면 지난 20년간 미혼인구 비중은 3.2%p 상승했는데 특히 핵심연령층 내 미혼인구 비중이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p 증가하면서 총인구의 미혼율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혼 남성·기혼 여성 늘어날수록 노동공급 총량↓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제공.
미혼 인구 증가로 노동시장의 미혼 비중도 빠르게 높아지는 가운데 미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상반된다.

우선 미혼 남성이 늘어날 경우 노동 공급 총량은 감소된다.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지난 10년간 미혼 대비 각각 13%p, 16%p 높고 실업률은 약 4%p 낮다. 또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게 나타난다.

반면, 여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대비 각각 19%p, 16%p 낮다. 또한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같이 미혼인구 비중 증가가 여성의 노동공급을 늘리고 남성의 노동공급은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인구 증가가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 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 것이다.

또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출산율이 역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고려했을 때 미혼인구 비중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경제활동참가율 장기추세, 즉 노동공급 총량의 정점 시점이 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정점 수준도 미혼인구 비중 증가세가 지속될수록 낮아지고 정점 이후 감소속도도 가팔라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율 높이고 미혼 인구 노동시장 참여 늘려야
주요국 미혼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한국은행 제공.
주요국 미혼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은 이같은 혼인율 하락에 따른 미혼인구 증가는 출산율 하락 등 미래 노동공급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미혼인구 증가세는 역행하기 어려운 구조적 흐름이므로, 인구 미혼화 대응 정책은 혼인율을 높여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는 완화정책과 함께 미혼인구의 특성에 맞게 근로환경을 개선하여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정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봤다.

우선 인구 미혼화 완화정책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기회비용을 낮추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고용과 주거 등 출산을 둘러싼 경제·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일과 가정 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해 유자녀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 경직성을 완화시켜 일과 출산, 육아를 병행하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

인구 미혼화 적응정책은 기혼에 비해 노동공급 성향이 낮은 미혼 인구의 특성에 맞춰 노동시장을 개선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미혼 근로자는 가족부양에 대한 부담이 낮아 상대적으로 시간과 장소에 대한 유연성이 높고 교육 투자 여력도 높아 인적 자본을 축적하는 데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미혼 근로자들의 노동공급 성향이 높아진다면, 이는 노동의 양적인 측면 뿐만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노동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해석이다.

다만 미혼 근로자들은 유연한 일자리와 자율적인 업무 환경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전통적이고 경직적인 고용 형태를 기반으로 한 산업이나 직종에서는 노동공급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
이에 원격·유연근로제 등 근무방식의 다양화, 다양성을 포용하는 조직문화 등 노동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