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500m서 시속 200㎞ 비행…슈퍼널 "5년 뒤 한국·미국서 상용화"[CES 2024]

최종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10 15:23

수정 2024.01.10 15:23

현대차 미국 UAM 독립법인 슈퍼널
CES 2024서 신규 AAM 기체 실물 공개
2028년 한국과 미국 등서 상용화 목표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최종근 기자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최종근 기자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최종근 기자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 슈퍼널은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사진=최종근 기자

【라스베이거스(미국)=최종근 기자】 "2028년 (미국과 한국에) 출시 예정인 슈퍼널의 최신 기체 'S-A2'다. 지상 1500피트(457미터) 상공에서 시속 120마일(시속 193㎞)로 비행하는 안전하고 편안하며 조용한 좌석에 앉아 도시의 전경을 즐길 수 있는 이동을 상상해 보라."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4에서 신재원 현대차·기아 미래항공모빌리티(AAM)본부장 겸 슈퍼널 최고경영자(CEO)는 "오늘날 도심에서 20마일 이동시 한시간 이상 교통정체에 갇혀 있는 건 흔한 일이다. 하지만 AAM을 통한 이동이라면 동일한 여정을 단 몇 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대차그룹이 지난 2019년 영입한 신재원 사장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30년간 근무한 최고 우주·항공 전문가다.

2028년 한국과 미국서 상용화
이날 CES 2024에서 현대차그룹의 AAM 독립 법인인 슈퍼널은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공개했다. AAM은 단거리 운행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장거리 수송용 지역 간 항공모빌리티(RAM)를 통칭하는 말이다. 슈퍼널은 2028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기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0년 CES에서 첫 비전 콘셉트 S-A1을 선보인 바 있는데, S-A2는 4년 만에 완전히 새롭게 개발한 차세대 기체다.

S-A2는 전장 10m, 전폭 15m로 조종사 포함 5명이 탑승 가능하다. 기체는 총 8개의 로터가 장착된 주 날개와 슈퍼널 로고를 본뜬 V자 꼬리 날개와 승객 탑승 공간으로 이뤄져 있다. 추진은 틸트 로터 방식을 적용했는데 회전 날개인 로터가 상황에 따라 상하 90도로 꺾이는 구조로 만들어져 이착륙 시에는 양력을 얻기 위해 로터가 수직 방향을 향하다가 순항 시에는 전방을 향해 부드럽게 전환된다.

틸트 로터 방식은 현재 AAM에 적용되는 추진 방식 가운데 가장 혁신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작동방식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직 이착륙 시 8개의 로터 중 전방 4개는 위로, 후방 4개는 아래로 틸트되는 구조는 슈퍼널이 업계 최초로 도입한 독자 방식이다.

소음은 식기세척기, 시속 200㎞ 비행
슈퍼널은 S-A2를 최대 400~500m의 고도에서 시속 200㎞의 순항 속도로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상용화 시 도심 내 약 60㎞ 내외의 거리를 비행할 예정이다. 도심 위를 쉴 새 없이 비행해야 하는 점을 고려해 기체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S-A2 기체는 전기 분산 추진 방식을 활용해 운항 시 소음을 45~65데시벨(dB)로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식기세척기의 작동 소음과 비슷한 수준이다.

상용화의 핵심은 안전성 확보인 만큼 슈퍼널도 CES 2024에서 이 부분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S-A2 기체의 로터와 배터리 제어기, 전력 분배 시스템, 비행 제어 컴퓨터 등 모든 주요 장치에는 비상상황에 대비한 다중화 설계가 적용된다. 더욱이 슈퍼널은 S-A2를 야간 및 다양한 기상조건에서도 계기와 관제 지시에 따라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하도록 제작해 2028년까지 상용 항공업계와 동등한 안전 기준을 만족하는 기체를 출시할 계획이다.

슈퍼널은 중국 업체와의 경쟁에서도 충분히 승기를 잡을 것으로 봤다.
이날 CES 2024에서 중국 전기 업체 샤오펑(Xpeng)은 자회사인 샤오펑 에어로HT를 통해 '플라잉카'를 전시했다. 다만 슈퍼널 모델이 거대한 비행기 같다면 플라잉카는 자동차에 날개를 달아 놓은 느낌이다.
신 사장은 "중국 업체들도 잘 하고 있지만 2명 정도 타는 기체는 사업성이 별로 없다"며 "전 세계적으로 모두 열심히 하고 있지만 결국 시장에서 승자는 효율성이 얼마나 좋은지, 가장 중요한 안전성이 얼마나 우수한지 등으로 판가름날 것"이라고 말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