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中 대체수요' 외화채권 인기 지속... 한은 "올해 만기 405억달러 주시"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2 18:07

수정 2024.01.22 18:07

지난해 순발행 90% 이상 非은행
"유동성 상대적으로 취약" 우려
지난해 한국계 외화채권(KP) 발행액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 경기악화로 아시아 채권시장에서 중국물의 인기가 줄면서 대체수요가 KP로 유입된 결과다. 올해는 400억달러가 넘는 채권의 만기가 돌아오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에 따라 KP 발행여건이 악화될 수 있어 기업들의 자금조달 상황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KP 발행액은 564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발행액에서 상환액(397억달러)을 제외한 순발행 규모는 167억달러로 지난 2021년(129억달러) 수치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지난해 KP 발행량이 큰 폭으로 늘어난 이유는 아시아 채권 시장에서 KP와 경쟁 관계에 놓인 중국 외화채권이 부동산 경기부진을 이유로 외면받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중국 외화채권은 공기업(23억달러)에서 순발행됐지만 민간기업(-124억달러) 및 민간금융기관(-94억달러)에서 대규모 순상환됐다.

고지성 한은 국제국 외환건전성조사팀 과장은 "중국물은 부동산 기업 유동성 위기 등으로 투자수요가 줄어들었는데 이들의 대체수요 중 일부가 KP로 유입된 것이 KP 발행 호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발행주체별로 보면 대기업(83억달러)과 국내 채권시장 공급부담 완화를 위해 원화채권 대신 KP를 발행한 공기업(68억달러)이 지난해 KP 순발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은행은 순발행 규모(29억달러)가 전년(91억달러)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풍부한 외화유동성에 외화대출이 감소하는 등 자금수요가 크지 않아서다.

한편 한은은 지난해 수준을 상회하는 405억달러의 만기 도래가 올해 예정된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에 따라 KP 발행여건이 악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와 같이 글로벌 금융여건과 KP 수급상황이 갑자기 악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 과장은 "유동성이 풍부한 은행과 달리 일부 기업은 발행여건 악화 시 조달비용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원화채권 발행, 스와프 수요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있어 국내 채권시장, 외화자금시장 등에 수급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물 수요 회복, 국내 부동산 PF 부실 확대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신용리스크 증대 등도 KP 시장여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