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종합] 尹 “GTX, x-TX 개통해 ‘국토 초연결’”..134조 투입한다

김윤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5 13:28

수정 2024.01.25 13:42

GTX A·B·C 개통·연장에 D·E·F 공식화
PK·TK·충청·호남 x-TX 철도망계획 반영
"메가시티, 빠른 이동으로 초연결하는 것"
"교통불편 해소는 물론 초연결로 경쟁력 제고"
출퇴근 혼잡 대책, 김포골드라인·광역버스 증편
민자 끌어들여 철도 지하화..3월 종합계획 착수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다목적체육관에서 열린 GTX-C 착공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다목적체육관에서 열린 GTX-C 착공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와 x-TX(지방권 광역급행철도) 개통을 통한 ‘국토 초연결’에 나선다고 밝혔다. 134조원을 투입해 대규모 교통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GTX A·B·C·D·E·F 노선 신속 추진과 x-TX 도입을 설명하며 “지역과 지역 간에 빠른 속도로 물리적 이동을 할 수 있어야 국토 초연결이 만들어지고 GDP(국내총생산) 향상의 기반이 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우선 GTX에 대해 “이곳 의정부를 지나는 GTX-C선은 오늘 착공식을 갖고 2028년까지 개통할 것이다.
가장 사업진행속도가 빠른 A선은 수서-동탄 구간이 3월 개통한다”며 “파주-서울역 구간도 연말에 개통이 된다. 또 인천에서 남양주까지 연결하는 B선도 3월에 착공해서 2030년에 개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A, B, C선의 연장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다. A선은 평택, B선은 춘천, C선은 북쪽으로는 동두천, 남쪽으로는 천안아산까지 연장할 것”이라며 “인천·김포에서 강남 거쳐 남양주와 원주까지 연결하는 D선, 강북을 통과해 구리와 남양주까지 잇는 E선, 수도권 순환 F선 등 신설은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해 동시에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민간 투자 사업으로 빠르게 추진하는 방안을 병행할 것이고, A~F선이 완공되면 수도권에서 서울 도심까지 30분 내에 다닐 수 있게 된다”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GTX 시대다. 수도권과 충청, 강원까지 단일 초연결 경제 광역 생활권이 돼 출퇴근 편의뿐 아니라 투자와 일자리가 창출되고 내수도 활성화돼 대한민국의 경제 지형 자체가 크게 바뀔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대통령은 구체적인 경제효과로 교통연구원 분석을 인용해 GTX 개통에 따른 직접 고용효과 50만명과 생산 유발효과 75조원, 또 주택수요 분산에 따른 부동산 시장 안정을 짚었다.

윤 대통령은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도 급행철도를 놓겠다고 밝혔다. 부산·울산·경남(PK)와 대구·경북(TK), 대전·세종·충청(충청), 광주·전남(호남) 등 4개 대도시권에도 최고시속 180km급 광역급행철도를 놓는 x-TX가 그것이다.

윤 대통령은 “민자 사업으로 제안한 대전·세종·충청 CTX부터 연내 사업에 착수하고 다른 노선도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추진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지방 대도시권도 30분 출퇴근이 가능한 메가시티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CTX 업그레이드 외에도 TK 신공항철도는 GTX 급행철도 차량을 투입해 2월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신청하고, PK와 호남에 추진 가능한 신규 노선을 5차 철도망 계획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이 같은 GTX와 x-TX 구축을 두고 “메가시티는 막연하게 어떤 지역을 편입시켜 덩치를 키우는 게 아니라 빠른 이동속도를 통해 국토를 초연결 해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며 “교통 불편 해소 측면은 물론 국가 전체 초연결 관점에서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측면에서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여섯 번째,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여섯 번째,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 대통령은 전국적인 철도망을 구축 외에도 출퇴근 혼잡을 잡아내는 데 집중하는 대책도 내놨다. 김포골드라인과 광역버스 증편, 철도 지하화다.

혼잡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한 김포골드라인에 대해선 열차 6편 추가 투입과 광역버스 증편 및 올림픽대로 ‘시간제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을 추진한다. 윤 대통령은 김포골드라인 탑승 경험을 소개하며 “열차를 딱 두량 두는 기준으로 만들었다는데, 어떻게 이렇게 단견으로 건설했는지 답답했다”면서 “6월부터는 신규 열차 6편을 추가 투입하고, 서울행 광역버스 확충에 전세버스도 추가 투입하면서 시간제 버스 전용차로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철도 지하화 사업은 지상철도를 지하에 새로 놓는 한편 철도 부지를 개발해 건설비용을 충당한다는 것으로, 3월 중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윤 대통령은 “철도 지하화 특별법에 따라 철도 부지를 현물출자하고 민간투자를 받아 자금을 마련함으로써 이익을 분배하는 구조”라며 “지하화를 추진할 제도적인 여건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저는 이게 많은 민간투자를 유발시켜서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제시한 교통망 구축과 대책 추진에는 134조원이 투입된다.
국비 30조원과 지방비 13조6000억원, 민간재원 75조2000억원으로 추산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