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DMA 시행에 따라 iOS, 앱스토어, 사파리 정책 개편
3월부터 개발사, 새로운 앱 배포 및 결제 방식 선택 가능
이용자는 애플스토어 아닌 타 플랫폼에서도 앱 다운
3월부터 개발사, 새로운 앱 배포 및 결제 방식 선택 가능
이용자는 애플스토어 아닌 타 플랫폼에서도 앱 다운

[파이낸셜뉴스] 유럽 아이폰 이용자들은 오는 3월부터 애플의 앱스토어가 아닌 다른 앱마켓에서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 받을 수 있게 됐다. 개발자도 아이폰의 인앱 결제가 아닌 외부 웹사이트 등 다른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애플은 25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운영체제 iOS와 앱마켓 앱스토어, 웹브라우저 사파리 등에 대한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3월부터 유럽연합(EU)에서 디지털 시장법(DMA)이 시행되는 데 따른 조치다. DMA는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대형 플랫폼 사업자를 게이트키퍼로 지정해 특별 규제하는 법안이다.
이번 조치로 이용자는 앱 구입 및 설치에 있어서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개발사도 다양한 가격 정책을 꾸릴 수 있게 됐다.
이제 애플은 유럽에서 이용자들이 애플스토어가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도 앱을 다운받을 수 있게 한다. 애플은 그동안 앱마켓 플레이스토어를 운영 중인 구글과 달리 개인정보 보호 등을 이유로 애플스토어에서만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허용해 왔다.
앱 개발자들이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대체 결제 시스템'도 제공된다. 웹사이트로 안내해 결제를 진행하는 등 대체 결제 시스템을 통한 거래는 기본적으로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또 애플은 자사의 결제 시스템을 통한 거래에 대해 수수료도 기존보다 인하한다. 애플에 따르면 현재 EU 개발자 중 약 3%가 30%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으며, 9%는 할인된 수수료(15%)를 지불하고 있다. 나머지 88%의 개발자는 비용을 지급하지 않는다. 정책 변경 후, 인앱 거래에서 징수하던 30% 수수료는 17%로, 소상공인 프로그램 등을 통해 15%를 내고 있던 개발사는 10%의 수수료를 내게 된다.
다만 애플의 생태계 장악력은 지속될 전망이다.
우선 아이폰에 다른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개발자들은 애플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 추가 결제 수수료 시스템도 도입했다. 애플의 결제 시스템 이용시 3%의 결제 처리 수수료를 부과하고, 100만번 이상 설치된 앱에 대해서는 연간 설치 건당 0.50유로(725원)의 수수료를 개발사에 부과하기로 했다.
한편 애플의 정책 변경은 유럽 아이폰 이용자 및 개발사에게만 해당된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 측은 전 세계 다른 곳에서도 해당 정책이 도입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