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권은희, 국힘 탈당·의원직 상실…"양당 정치 현실 회귀로 좌절 반복"

정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9 11:10

수정 2024.01.29 11:10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탈당 및 국회의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마치고 허리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탈당 및 국회의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마치고 허리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탈당 및 국회의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탈당 및 국회의원직 사퇴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권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의힘을 탈당하면서 의원직을 상실하게 됐다. 권 의원은 "제3지대가 이루어낸 작은 성과조차도 뿌리내리지 못하고, 다시 양당 정치현실로 회귀하는 쓰디쓴 좌절이 반복됐다"고 전했다.


권 의원은 2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탈당을 선언했다. 권 의원은 지난 21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비례대표로 당선됐지만 지난 2022년 대선 후 합당 절차를 밟으면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변경됐다. 비례대표는 탈당을 할 경우 의원직을 상실하게 되는데, 권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국민의당 비례대표 4번이었던 김근태 전 국민의당 청년최고위원이 의원직을 승계 받을 예정이다.

권 의원은 "지난 20대, 21대 총선에서 실용적 중도정당 국민의당 후보로 국회의원이 됐다"며 "좌우진영의 이념과 기득권을 극복하고 국민을 바라보라는 유권자의 뜻이었다. 이념에 갇히지 않고, 기득권에 눈치보지 않고 국회의원 양심과 소신에 따라 국민과 함께 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아울러 권 의원은 "지난 2022년 3월 국민의힘과의 합당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며 "제3정당을 선택하신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고자 제명을 요청했다. 국민의당이 좌절했을 뿐, 제3지대 정치를 향한 국민의 열망이 꺾인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 의원은 "그러나 제명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거대 양당 정치의 현실 속에서 고민하는 나날의 연속이었다"며 "국민 생명과 안전, 법 앞의 평등과 같은 가장 근본적 문제 앞에서도 타협하지 못하는 양당 정치의 적대적 관계에서 한없이 답답했다. 좌절이 반복되는 양당 정치의 높은 벽을 극복하고 제가 희망하는 국민이 이기는 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을 갖고 다시 인사드릴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권 의원은 기자회견 후 취재진과 만나 제3지대 합류 가능성에 대해 "유승민 전 원내대표께 지난해 11월과 12월에 제3지대 정치를 다시 한번 하고 싶다고 말씀드렸다"며 "유 전 원내대표는 당에 잔류하겠다고 하면서 함께하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씀을 주셨다. 이제 다시 고민을 해야하는 시간"이라고 답했다.

개혁신당과 개혁미래당(가칭) 등 제3지대 정당과의 소통에 대해 권 의원은 "양쪽 모두 편하게 소통을 하고 있다"며 "총선 이후에도 제3지대에 뿌리를 내려 정말 정치의 변화를 이뤄낼 강한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 묻고 있는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권 의원은 "제가 3당에 있었을 때, 이준석 전 대표와 이낙연 전 대표는 양당에 있었다"며 "그때와 지금, 과연 본인들의 신상변화 이외에 정치 변화를 왜 생각하고 실행에 옮기기까지 됐는지에 대한 답을 듣고 싶다"고 덧붙였다.

권 의원은 현 정부에 대한 쓴소리도 전했다.
권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이 유력한 이태원특별법에 대해 "결단코 거부권 행사는 있어서 안될 일"이라며 "아무런 책임을 묻지 않고 넘어가선 안되기 때문에 결단코 거부권 행사를 하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권 의원은 수직적 당정관계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권 의원은 "이태원 특별법은 국회 내에서 타협이 얼마든지 가능한 법"이라며 "국회를 탓하기 전에 집권 여당에게 자율권을 주지 않는 수직적 관계에 대해 먼저 반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theknight@fnnews.com 정경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