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봄도 동시다발·대형산불 위험… ICT 감시체계 전국확대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29 18:08

수정 2024.01.29 18:08

산림청, 2024 산불방지대책 발표
감시카메라 연계로 초기부터 찾고 신고체계 개편해 초동대응 앞당겨
고위험 지역은 입산 막아 사전차단.. 지자체와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도
남성현 산림청장이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4년 산불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남성현 산림청장이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4년 산불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인공지능(AI)기반의 '정보통신기술(ICT) 산불 감시 플랫폼'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산불신고·접수체계 개편으로 초동 대응 및 대피 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더욱 효율적인 산불예방과 진화를 위해 올해부터는 영농부산물파쇄와 산불진화 헬기투입 등에 범부처 및 유관기관 간 공조체계가 강화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산불방지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 따르면 산불 주요 원인인 소각으로 발생하는 산불 차단을 위해 산림청·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를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연접지 화목보일러의 타고남은 잿더미 등의 처리시설을 일제 점검해 산불 위험요인도 없앤다. 산불 위험이 높은 지역은 입산을 통제(183만㏊·29%)하고 등산로를 폐쇄(6887㎞·24%)해 입산자 실화를 사전에 막는다는 구상이다.

특히 AI 기반의 산불감시체계인 ICT 플랫폼을 전국 20곳으로 확대해 산불을 초기에 감지하고,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는 요양병원, 초등학교 등 19만6000곳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탑재해 산불 발생 대비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산불방지 ICT 플랫포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이를 산불감시카메라와 연계하는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산불대응에 적극 나선다.

산불진화자원 투입이 어려울 수 있는 대도시의 주요 산 100곳과 섬지역은 산불대응 전략을 사전에 마련해 신속한 진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해외 임차헬기를 도입하고 유관기관 헬기와 산불진화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기존 진화차량보다 담수량이 3배 많은 고성능 산불진화차 11대를 추가 도입해 야간산불과 대형산불에 대응키로 했다.

지난해 발생한 산불은 596건으로 피해 면적은 4992㏊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10년간 산불피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산불 발생건수·피해 면적은 596건·4992㏊로 최근 10년(2014~2023년) 평균 567건·43㏊보다 각각 5%·25% 증가했다. 다만, 전년인 2022년의 756건·2만4797㏊보다는 각각 27%·497% 줄었다.

지난해 발생한 산불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170건(29%)으로 가장 많고, 쓰레기 소각 72건(12%), 논·밭두렁 소각 57건(10%), 담뱃불 실화 54건(9%), 건축물 화재 41건(7%)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월 2일 하루 발생한 35건의 산불은 역대 세번째 많은 동시다발 산불이며, 4월 3일에는 역대 최초로 대형 산불(100㏊이상) 5건이 동시에 발생했다.

올해도 2~4월 기온·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되면서 예년 봄철과 유사한 수준의 산불위험이 예상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영농부산물 파쇄와 전력설비 주변 위험목 제거, 헬기 공조체계 가동 등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 산불에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산불의 99%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협조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