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신 말짱한 70대 시어머니, 요양원 보내면 '현대판 고려장'이란 남편 [어떻게 생각하세요]

문영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01 05:40

수정 2024.02.01 05:4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홀로 사는 시어머니를 요양원에 모시는 일로 남편과 불화를 겪고 있다는 며느리가 고민을 토로했다.

1일 세계일보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시어머님 요양원’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시어머니가 70대 후반인데, 건강체질이 아니셔서 병치레가 잦으셨다”고 했다. 이어 “뇌쪽에 종양이 있으셔서 수술도 여러 번 하셨고, 지금도 뇌질환으로 입원이 잦으시다”라며 “관절 때문에 움직이시는 것도 힘들어 하신다”고 전했다.

A씨는 현재 시어머니 집과는 1시간 거리에 살고 있고, 시어머니가 거동이 힘들어 병원에 오갈 때 장남인 남편이 자주 찾아뵙는다고 했다.

A씨는 “남편이 최근 들어 어머니를 돌보는 일에 관해 자주 얘기를 꺼낸다”라며 “그러면 (어머니) 요양원에 가셔야지”라고 A씨가 말하자 남편은 “내가 장남이고 어머니 나이도 젊고 정신도 말짱하신데 요양원은 절대 안 된다.
나는 못 보낸다. ‘현대판 고려장’ 같은 느낌”이라고 거부했다고 한다.

A씨는 “그러면 (다른) 방법이 있느냐”고 물었고, A씨 남편은 “큰 숙모가 장남과 결혼해서 외할아버지(시모 아버지)를 혼자 20년 돌보셨다”고 말했다. 이어 “숙모님은 외할아버지가 치매가 오고, 숙모님이 우울증 걸린 후에야 할아버지를 요양원 보냈다”고 덧붙였다.

A씨 남편은 “이런 모습을 봐온 어머니 역시 ‘장남이 아픈 부모를 모시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거다. 우리 집은 보수적인 집안이라 장남이 어느 정도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고 한다.

A씨는 “제가 볼 때는 시어머니 혼자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는 아닌 것 같고,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맞벌이에 시어머니 돌보는 것까지는 자신이 없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자꾸 합가 이야기가 나와 신경이 예민해진다”라며 “정 힘들면 요양원 가셔야 하는 게 맞지 않나? 곧 80이신데 뭐가 자꾸 이른 나이라고. 정신은 멀쩡하신데 케어가 필요하시면 요양원은 안 가시는 거냐”라고 물었다.

해당 글은 8만여회가 넘는 조회 수를 올리고 있다.

대다수 누리꾼들은 “남편이 짐 싸서 엄마집에 들어가면 된다” “네가 모시라고 남자를 시어머니 집으로 보내시라. 주말부부 하시고” “거꾸로 그런 문제 생기면 사위는 아무 일도 안 한다” “요양원이 몹쓸 곳인가. 좋은 곳 많다” “우울증 걸릴 때까지는 모셔야 한다는 건가?” 등 댓글을 달며 A씨 글에 공감을 표했다.

네이트판 게시글 댓글 캡처
네이트판 게시글 댓글 캡처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901.8만 명에 이르러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고 있다. 증가세로 보면 2024년에는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2025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3%로 증가할 전망이며, 한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이에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은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18년 8조원이었던 시장 규모는 2022년에 14.5조원으로 증가했다. 이용자 수도 같은 기간 동안 103.6만 명에서 167.3만 명으로 증가, 연평균 12.7%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28년까지 1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모두 고령인구에 포함됨에 따라, 이들이 시니어케어 시장에 본격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