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영농부산물 소각 대신 파쇄… 미세먼지·산불위험 줄인다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07 18:07

수정 2024.02.07 18:07

농업인 고민해결 나선 농진청, 민관 합동 파쇄지원단 발대식
조재호 청장 "안전한 처리" 강조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왼쪽)이 7일 전북 진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행정안전부, 산림청, 농협과 미세먼지 배출 절감과 산불예방을 위한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 발대식 및 캠페인' 개최식 후 직접 영농부산물 파쇄 작업을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왼쪽)이 7일 전북 진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행정안전부, 산림청, 농협과 미세먼지 배출 절감과 산불예방을 위한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 발대식 및 캠페인' 개최식 후 직접 영농부산물 파쇄 작업을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제공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7일 "농진청은 파쇄지원단을 통해 영농부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의 불편을 덜고 나아가 농촌지역 미세먼지 발생 저감, 산불예방에 꼭 필요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날 행정안전부, 산림청, 농협과 함께 전북 진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민관 합동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 발대식을 열고 진안군 일원에서 영농부산물 소각 금지 실천 운동(캠페인)을 펼쳤다.

영농부산물이란 고춧대나 깻대, 과수 잔가지 등 농수산물 수확 후 발생하는 줄기와 뿌리를 말한다. 밭·과수원에서 나오는 영농부산물은 볏짚이나 채소부산물과 비교하면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자연분해도 쉽지 않고, 기계의 힘을 빌리지 않고 파쇄도 힘들어 고령화가 진행된 영농 현장에선 소각을 통해 처리하는 관행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소각 과정에서 산불 발생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이 산불 발생이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소각 시 오염물질 배출도 문제다. 영농부산물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등 대기오염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농촌진흥기관, 농업인단체 등과 협력해 '찾아가는 마을 순회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파쇄지원단)'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파쇄지원단은 11~12월, 1~5월에 중점 운영하며 품목·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활동한다.

농진청 관계자는 "산림 연접지역, 고령농업인 거주 비중이 높은 마을 등을 우선 찾아가 영농부산물 수거와 파쇄 작업을 돕고 있다"며 "과수 화상병, 고추 탄저병과 같은 식물 전염병 예방을 위해 병 증상이 있는 영농부산물은 별도 분리해 안전하게 폐기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도 영농부산물을 소각하는 대신 파쇄해 토양에 되돌리는 자원순환 문화를 확산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영농부산물 △제때 수거와 파쇄 △소각하지 않기 △논·밭두렁 태우기 금지 등 실천사항을 잘 지키고, 농업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할 것을 결의했다.
이어 영농부산물 파쇄작업 연시회를 열고, 영농부산물 퇴비화 과정을 선보였다.

진안군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 손경종 대표는 "농업인들에게 영농부산물 파쇄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고, 단원들 모두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며 활동하겠다"고 말했다.
조 청장은 "농진청은 관계 기관과 협력해 영농부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다양한 방안을 계속 모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