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국방연구원 "2030년 입영 장병 5%, 다문화가정 출신" 분석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11 17:52

수정 2024.02.11 17:52

전문가 분석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다문화 장병 지원정책 추진해야"
[파이낸셜뉴스]
육군 36사단 지난 2023년 2월 1일 첫 신병교육 수료식이 강원 원주시 육군 제36보병사단 내 강당에서 열렸다. 5주간의 훈련을 무사히 마치고 가족들 앞에 선 장병들이 늠름한 모습으로 상관에게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육군 36사단 지난 2023년 2월 1일 첫 신병교육 수료식이 강원 원주시 육군 제36보병사단 내 강당에서 열렸다. 5주간의 훈련을 무사히 마치고 가족들 앞에 선 장병들이 늠름한 모습으로 상관에게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국방연구원(KIDA)은 11일 2030년이 되면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의 입영비율이 5%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KIDA에 따르면 홍숙지 KIDA 연구위원은 '군 다문화 정책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제하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2009년 병역법 개정 후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은 인종과 피부색에 관계없이 병역의무를 지게 되면서 다문화가정 출신들도 입대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2010년 51명에 불과했던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은 2018년 한해에만 1000명을 넘었으며, 2030년에는 1만여명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저출산으로 인한 입영 장병 수 감소와 맞물려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의 입영비율은 2022년에는 약 1%에 그쳤으나 2030년부터는 5% 수준을 유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홍 위원은 "현재 다문화 장병에 대한 지원정책은 일부 종교 및 식단 지원 등 최소복지에 국한됐다"며 "다문화 장병들이 군의 일원으로 원활하게 복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문화가정 초청 행사 등을 열어 장병들이 이들과의 접점을 늘려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홍 위원은 "다문화 장병은 저출산으로 인한 병력 부족 현상의 해결 및 군을 유지해 나가는 데 필요한 주요 병력자원이 될 수 있다"며 "군은 적극적으로 다문화 장병에 대한 관리 및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수준을 확인한 뒤 적성 등을 고려해 보직 배치를 해야 하고, 다문화 장병을 공공연히 구분하는 것은 차별 행위가 될 수 있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홍 위원은 종교활동 보장과 대체 식단 지원 등은 '다문화 장병 지원'보다는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대 소요/가용자원/다문화 장병 입영 추이. 사진=한국국방연구원 제공
입대 소요/가용자원/다문화 장병 입영 추이. 사진=한국국방연구원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