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연내 ‘영문 오픈 DART’ 가동..K-디스카운트 해소한다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18 12:00

수정 2024.02.18 12:00

금감원, 주요 공시 데이터 분석·활용 영문으로 지원
DART 영문 서비스 강화 방안. 금융감독원 제공
DART 영문 서비스 강화 방안. 금융감독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외국인 투자자들이 법정공시 주요 항목을 영문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주요 공시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영문 서비스인 ‘영문 오픈 다트(Open DART)’가 새로 구축된다.

금융감독원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해 전자공시시스템(DART) 영문 서비스를 확대한다”며 18일 이같이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 방안’ 일환으로 영문 DART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개선 중이다. 지난해 DART 영문공시 플랫폼 개선 로드맵을 통해 사업보고서 등 법정공시 제출 즉시 영문 DART에서 공시 발생 사실 등을 영문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게 대표적이다.

올해는 영문 DART에서 제공하는 법정공시의 목차·서식을 영문으로 자동 번역하고, 주요 공시정보 분석·활용을 위한 ‘영문 Open DART’를 구축한다.

금감원 측은 “외국인 투자자가 공시 발생사실(1단계)에 이어 목차와 주요항목(2단계)까지 영문으로 실시간 확인하고, 대량의 데이터를 쉽게 수집·분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내 자본시장의 저평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특히 국내 투자자에게만 제공됐던 ‘공모정보’ 등 주요 편의 기능을 외국인 투자자에게도 동일하게 제공해 국내기업의 자본조달에도 기여한다는 목표다.


금감원은 “영문 Open DART와 영문 DART 사용 방법 등을 동영상 가이드로 제작해 외국인 투자자의 DART 이용 편의성을 높이겠다”며 “오는 4월까지 공개경쟁 입찰절차를 완료한 후, 연내 정식가동을 목표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