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공급 과잉 소비 부진 속의 중국 경제

이석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19 15:34

수정 2024.02.19 15:34

부동산 침체 속에 불확실한 미래 걱정하며 지갑 닫아
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한 베이징 시민. 연합뉴스
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는 한 베이징 시민. 연합뉴스


중국 하이난 섬 면세점에서 휴일 연휴를 이용해 쇼핑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 연합뉴스
중국 하이난 섬 면세점에서 휴일 연휴를 이용해 쇼핑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베이징=이석우 특파원】 중국이 전반적인 경제 침체와 공급 과잉 속에서 가격 인하와 소비 부진의 터널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춘제(설) 연휴가 끝나고 19일부터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대형 마트와 상점들에서는 가격 인하 표시가 붙어있는 선물 세트 등 팔리지 않은 상품들이 즐비하다.

19일 언론 등에 따르면 상무부의 빅데이터 모니터링에 따르면 곡물, 식용유, 돼지고기, 쇠고기, 양고기, 닭고기, 계란 가격 등 생활 필수 품목의 가격은 명절 전이나 연휴 기간이나 같았다. 야채 가격은 명절 전보다 오히려 1.2%가 떨어졌다.

전통적으로 중국 당국은 곡물, 기름, 육류, 가금류, 계란, 야채 등의 가격이 오르지 않도록 억눌러 오기는 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공급 과잉에 소비 부진까지 겹치면서 가격 하락세가 역력하다. 연휴 직전인 지난 8일 나온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CPI)도 5.9%나 떨어진 식품 물가가 하락세를 이끌었다.
돼지고기가 17.3% 급락한 가운데 채소(-12.7%), 과일(-9.1%), 수산물(-3.4%) 등의 가격 하락의 물가 하락을 견인했다. 공급 과잉 속의 소비 위축이 근본적인 하락 이유이다. 컨설팅회사 상하이 JCI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돼지고기 소비는 약 5400만t으로 전년 대비 약 100만t 줄었다.

0.8% 하락으로 2009년 이후 15년 이래 가장 폭이 컸던 1월의 CPI에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 대비 2.5% 떨어져 16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해 경제 침체 속에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 우려를 높이고 있다. 농업농촌부는 돼지고기 급락 이유를 거대 양돈기업들의 사육 규모 확대를 주 이유로 들었다. 지난해부터 도축을 늘려와 당장 가격이 떨어지겠지만, 번식용 암퇘지 수가 줄어 2·4분기에는 시장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베이징 시민인 류제(62)씨는 "돼지고기 가격은 2020~2021년에는 치솟았다가 또 떨어지는 등 들쑥날쑥을 거듭하고 있고, 과일 가격은 요사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10여 년전에 비하면 몇 배 올랐다"라고 체감 물가를 설명했다.

소득 감소 우려 속에서 가성비를 따지며 저가 물품을 선호하는 하향 소비 현상이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다.

자동차 가격의 인하는 상징적이다. 대표적인 전기자동차업체 비야디(BYD)는 연간 자동차 판매량 300만대를 돌파한 탕 모델의 가격을 지난해 말 1만위안(185만원) 낮춘 24만9800 위안(약 4627만원)에 팔고 있다. 테슬라도 모델 3의 가격을 1만5500위안(287만원) 떨어뜨린 24만5900위안(약 4556만원)으로 인하해 판매하고 있다.

부동산 침체에 주택담보대출 부담으로 허리가 휘어져 있는 중국인들이 미래 불안 속에 지갑을 닫고 꼭 필요한 소비가 아니면 쓰지 않는 합리적 소비, 가격을 낮춰서 사는 하향 소비로 흐르고 있다.

중국 당국의 서민 생활을 위한 기본적인 교통비와 식료품 가격 지키기 정책은 이 같은 물가 하락에 일조하고 있다. 지하철이나 시내버스 요금은 10여년 전과 다름없는 각각 3위안(555원)과 2위안(370원)을 고수하고 있고, 쌀 가격도 20년 전에 비해 10% 가량 올랐을 뿐이다.

반면 음료수와 육류 가격, 외식 가격 등은 10여 년 전에 비해 크게 올랐다. 중국 당국이 기본적인 생존에 필요한 양식류를 제외하고는 가격 상승을 허용하고 있다.
딸기 680g 한 통에 41위안(7600원), 600g 짜리 식빵 13위안(2400원), 키위 한 개당 9.9위안(1833원) 등. 한국에 비해 아직 저렴하지만 베이징의 경우, 서민들은 과일 값, 고기 값이 너무 많이 올라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june@fnnews.com 이석우 대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