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축구장 12개' 물류센터가 시간당 12만개 택배 자동 분류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0 09:20

수정 2024.02.20 09:20

관련종목▶

포스코DX,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 구축
물류시스템에 AI 접목… 상하차 시간도 단축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에 입고된 물품들이 크로스벨트 소터에 의해 자동 분류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에 입고된 물품들이 크로스벨트 소터에 의해 자동 분류되고 있다. 포스코DX 제공
[파이낸셜뉴스] 포스코DX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시간당 12만개의 택배를 처리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물류 시스템에는 영상인식 AI기술을 통해 작업자 없이도 자동으로 택배를 분류한다. 또 물류 입고시간과 차량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포함돼 있다.

20일 포스코DX에 따르면,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는 대전 유성구에 지상 4층, 축구장 21개 크기인 연면적 14만8230㎡로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다.
물류센터내 총 연장 40㎞의 컨베이어와 상품을 자동 분류하는 크로스벨트 소터 2.5㎞, 동시에 200대 상차와 80대 하차가 가능한 도크를 갖추고 있다. 최대 규모인 만큼 시스템 구축기간도 3년 5개월이 소요됐다.

특히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는 기존 작업자가 육안으로 수동 분류하던 작업에 자체 개발한 영상인식 AI기술을 도입해 자동화했다. 마대 자루, 보자기 등과 같이 택배의 모양과 크기가 불규칙한 화물의 형상을 자동으로 인식, 크기별로 사전에 자동 분류하는 'AI 3분류 시스템'을 적용했다.
포스코DX가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한진 대전 스마트메가허브는 지상 4층, 축구장 21개 규모다. 포스코DX 제공
포스코DX가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한진 대전 스마트메가허브는 지상 4층, 축구장 21개 규모다. 포스코DX 제공
포스코DX 관계자는 "대량으로 한꺼번에 투입되는 택배 상품들의 형상을 AI 기반 비전 카메라로 분석한 후 일렬로 나열해 배출시키는 '비전 정렬기'를 구축해 분류 작업의 자동화와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포스코DX는 물량이 몰리는 피크 시간대에 입고시간을 조정하고, 차량 대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스마트 도크관리시스템(DMS)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30분 단위로 입고 가능 시간을 사전에 알려준다.
또 상품의 상하차가 이뤄지는 도크에서 작업중인 화물차 내의 잔여 적재량을 영상인식 AI로 파악해 다음 작업자가 시간에 맞춰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조석주 포스코DX 물류자동화사업실장은 "㈜한진과의 유기적인 협업은 물론 회사의 핵심 역량인 IT+PLC(제어) SW 융합기술을 통해 제작 및 시운전 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1월 초부터 인근 대전종합물류센터의 전체 물량을 이전 받기 시작해 설 성수기 물량도 완벽히 소화함으로써 조기 안정화 하였고 기계·전기·제어·IT에 이르는 물류센터 전 공정에서 포스코DX의 설계 및 시공 능력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