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최대 1000만원 싸게' 세계가 전기차 가격 인하 전쟁

최종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2 07:46

수정 2024.02.22 10:01

글로벌 전기차 시장 위축 지속
포드, 美서 마하-E 최대 1000만원 인하
한국서도 보조금 기준 가격 인하 행렬
현대차·기아·KG모빌리티 이어
테슬라·폭스바겐 등도 車 가격 인하
포드 머스탱 마하-E. 포드 제공
포드 머스탱 마하-E. 포드 제공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꺾이면서 자동차 업체들이 파격적인 할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 포드는 미국 시장에서 최대 1000만원의 할인 카드를 꺼내 들었고, 테슬라는 한국에서 주력 주력 전기차 모델Y의 가격을 보조금 기준에 맞춰 200만원 내렸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머스탱 마하-E 2023년형 모델의 가격을 트림별로 3100∼8100달러(약 414만∼1081만원) 인하했다. 이에 따라 기본 모델의 가격은 기존 4만2995달러에서 3만9895달러(약 5321만원)으로 떨어졌다.

할인 대상 차량은 2023년형으로 한정됐는데, 올해부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 요건을 맞추지 못해 3750달러(약 500만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재고차가 급증하자, 파격적인 할인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도 미국 시장에서 딜러들에게 지급하는 판매 장려금(인센티브)을 확대하며 전기차 판매 확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현대차그룹의 전기차는 법인에 판매하는 플릿(fleet)을 제외하면 모든 차종이 IRA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따른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어서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6의 경우 인센티브 부담이 대당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업체처럼 차량 가격 자체를 인하하진 않지만, 인센티브를 늘리는 방식으로 차량 가격을 낮춘 것이다.

현대차 아이오닉6. 현대차 제공
현대차 아이오닉6. 현대차 제공

테슬라 모델Y RWD.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테슬라 모델Y RWD.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 캡처

국내 시장에서도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환경부의 전액 보조금 지급 기준이 지난해 5700만원 미만에서 올해는 5500만원 미만으로 하향 조정되면서 가격 인하가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의 가격을 200만원, 코나 일렉트릭은 80만원 내렸다. 아울러 현대차는 아이오닉5, 아이오닉6, 코나 일렉트릭 등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160만원 상당의 충전 크레딧 또는 홈 충전기 지원(설치비 포함), 중고차 잔존가치 보장, 신차 교환 지원 등 혜택을 주는 'EV 에브리 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기아는 'EV페스타'를 통해 EV6 300만원, EV9 350만원, 니로 EV는 100만원을 깎아준다. 봉고 EV를 구매할 경우 최대 70만원의 충전기 설치 비용을 지원한다. 올해 보조금이 줄어든 KG모빌리티는 토레스 EVX의 가격을 200만원 인하했다.

해외 업체들도 몸값을 낮추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 중국산 모델Y로 돌풍을 일으켰던 테슬라는 후륜구동(RWD) 가격을 5699만원에서 5499만원으로 내렸다. 아울러 폭스바겐, 폴스타 등 다른 수입차 브랜드도 이미 변경된 보조금 기준에 따라 가격을 내렸다. 폭스바겐은 전기차 ID.4 라이트의 판매가격을 기존 5690만원에서 5490만원으로, 폴스타는 폴스타2 롱레인지 싱글모터의 가격을 5590만원에서 5490만원으로 낮췄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들어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빠른 속도로 꺾이면서 가격이 중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며 "당분간은 가격 인하 경쟁이 지속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올해 국내 업체들에 다소 유리한 방향으로 개편된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과 정책에 대해선, 앞으로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겸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지원 확대를 통해 전기차 경쟁력을 보강하면서 국내 제작에 대한 효과적 보조금 정책 추진 등을 통해 시장 여건을 개선해가야 한다"면서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장기적으로 중국 전기차의 국내 시장 장악이 불가피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