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 총리 "보건위기경보 최고단계 격상...비대면 진료 전면확대"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3 09:59

수정 2024.02.23 11:14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 돌입
22일 기준 8900여명 전공의 사직서
필수치료 지연 병원에 공보의 지원
부처 소관 병원 대체 의사 채용 주문
재정부분은 정부 차원서 적극 지원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02.23. kmx1105@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02.23. kmx1105@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23일 오전 8시 기준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가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됐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의사 집단행동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오늘 오전 8시 부로 보건의료재난 경보 단계를 위기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국무총리 주재 중대본이 구성해 관계 부처와 17개 시·도가 함께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22일 기준 전공의수 상위 100여개 병원에서 총 8900여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냈고 이중 7800여명은 근무지를 이탈했다.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과 수업 거부도 이어지고 있고,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오는 25일과 3월3일 대규모 도심 집회도 계획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환자들의 피해도 계속되고 있다. 피해신고센터에 집계된 신고는 총 189건으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공공의료기관 가동 수준을 최대치로 올린다. 한 총리는 "모든 공공의료기관의 평일 진료 시간을 가능한 최대로 연장하고, 주말과 휴일 진료도 확대한다"며 "응급실 24시간 운영체제도 지금처럼 유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중증·위급환자의 이송과 전원을 컨트롤하는 광역응급상황실을 3월초 4개 권역에 신규로 개소해 응급환자가 골든타임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집중 관리한다. 4개소는 현재 설치된 광역응급상황실에 추가되는 숫자다.

정부는 병원에서 임시 의료 인력을 추가 채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시 수가를 2배로 확대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해 병원 운영의 탄력적 운영이 가능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한 총리는 "중증·응급 수술 등 필수 치료가 지연되는 병원의 인력 수요를 파악 중이며, 공보의와 군의관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보훈부, 고용부, 국방부, 지자체 등 소관 병원이 있는 기관에 "외부 의사나 시니어 의사 선생님 등의 대체 의사를 임시로 채용하는 등 의료공백에 총력 대응해달라"며 "재정 지원은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지시했다.

한 총리는 "병증이 가벼우신 국민께서는 정상 운영되는 가까운 병·의원을 이용해주시고, 지자체에서도 환자들이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한 총리는 “국민이 일반 진료를 더 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부는 이날부터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하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의료계에 "집단행동은 국민들의 기억에 상처를 남기고 의료인의 숭고한 사명을 망각하는 행동일 뿐"이라며 " 불법 집단 행동은 존경받는 의사가 되겠다는 젊은 의사들의 꿈을 무너뜨릴 수 있는 위험한 방법이며, 그런 위험 속으로 젊은 의사들을 등 떠밀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환자의 곁으로 돌아와 주시기를 간곡히 요청한다.
정부는 언제든지 열린 마음으로 여러분과 대화하겠다"고 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