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시, '장애인 자립' 더 촘촘하게 돕는다

최재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6 13:37

수정 2024.02.26 13:37

'장애인 자립지원 절차 개선안' 마련
올해 1900명 자립역량 조사하고 단계별 맞춤형 지원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2월 29일 서울 종로구 기독교연합회관내 실로암 시청각장애인 학습지원센터를 방문, 센터 이용자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2월 29일 서울 종로구 기독교연합회관내 실로암 시청각장애인 학습지원센터를 방문, 센터 이용자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 자립을 희망하는 경우, '자립체험 기간'을 통해 적응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장애인의 성공적 사회 정착을 위해 자립역량 점검부터 퇴소 후 지원까지 아우르는 '장애인 자립지원 절차 개선안'을 마련하고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올해 시내 39개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1900명의 자립역량을 조사할 계획이다.

우선 시는 장애인의 시설 퇴소 결정 전 의료진 등 전문가 상담을 통해 심층조사를 진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적 건강 상태와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 수행 가능 정도를 고려, △우선 자립 △단계적 자립 △시설 거주 등 3단계로 구분해 지원할 예정이다.

'우선 자립'이 가능한 이들을 대상으로는 자립 지원을 위한 절차를 시작한다. '단계적 자립' 단계의 장애인들은 5년간 자립 연습기간을 갖고 준비하고 퇴소 이후에도 정책적 지원을 진행한다.

자립역량 상담 후 사회에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자립지원위원회’를 개최한다. 의료인과 재활상담가, 자립지원기관 관계자 등 전문가들이 퇴소 및 자립지원을 다각적으로 검토한다. 자립생활을 천천히 익힌 뒤 지원주택에 정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체험 기간을 부여하고, 퇴소 후에도 지역사회 정착에 불편이나 어려움이 없는지도 지속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거주시설 퇴소 장애인 700명을 대상으로 자립실태를 조사했다.
응답자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1점을 기록했다. 다만 △기저질환 등으로 인한 건강문제 △지역사회로부터 고립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어 자립역량 조사와 자립체험 기회 제공을 결정했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시설에서 퇴소한 장애인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지원 절차를 개선했다”며 “‘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최우선으로 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자립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asonchoi@fnnews.com 최재성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