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인구구조 변화·기후금융 시급한 과제...대내외 리스크에 금융당국 신속 대응 必"

이승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8 10:00

수정 2024.02.28 10:50

금감원, 5개 연구기관과 '연구기관장 간담회' 개최
안철경 보험연구원장(맨 왼쪽),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왼쪽 두번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세번째),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왼쪽 네번째),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왼쪽 다섯번째),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이 28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한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안철경 보험연구원장(맨 왼쪽),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왼쪽 두번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세번째),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왼쪽 네번째),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왼쪽 다섯번째),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이 28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한 '연구기관장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주요 연구기관장들은 2024년 주목해야 할 금융산업 트렌드로 △인구구조 변화 △기후금융 △사이버 보안 △AI 금융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 5가지를 선정했다. 인구구조, 기후변화 등 이미 예견된 미래 위험에 대해서는 금융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되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AI금융 등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며서 사이버 보안도 강화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아울러 올해 예상보다 견조한 세계경제 성장 및 금리 인하 기대감 등 우호적인 경제여건이 조성될 수 있으나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 △높은 가계부채 △취약차주 금융부담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내외 리스크가 산재해 금융감독 당국의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입 모아 설명했다.

5개 연구기관장(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삼성글로벌리서치)은 28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개최한 '연구기관장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2024년 금융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를 논의하고 금융시장의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였다.

먼저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인구구조 변화와 저탄소 경제전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30년간 인구감소 및 고령화라는 인구구조 변화의 큰 흐름은 '정해진 미래'로 받아들여야 하는 가운데 금융회사의 경영실적 위축 및 수익성 악화 가능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이에 따른 수익원 다변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리스크관리 강화 등을 적극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저평가 이슈와 저조한 주주환원으로 매력적인 시장으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신 원장은 "코스피의 순자산비율(PBR)은 주요국 대비 하위권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주친화적인 자사주 정책, 배당 확대,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며 "또한 기업이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악용해 주주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에 기업 자발적인 자사주 소각을 유도하고 자기주식 처분의 공정성 강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사이버위험은 상호연결성이 높은 정보통신의 특성에 기인한다"며 사이버위험 방지를 위한 민관협력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AI와 블록체인 등 정보기술의 고도화와 상호연결성 외에 원격근무 환경으로 인한 랜섬웨어(ransomware) 등 사이버위협에 취약한 환경이 확대되고,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소송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 완화를 통한 금융시장 신뢰성 강화, 대외 리스크 국내 전이 예방, 대(對) 중국 리스크 대응력 확충, 철저한 민간신용 리스크 관리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2024년 국내 금융시장은 금융의 디지털 혁신·성장을 뒷받침하면서 안정성도 높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은 "AI 기술의 효과적 활용,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 등 금융업 경쟁력 강화와 사회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업계와 금융감독 당국의 협력이 요구되는 시기"라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 대비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의 역할 확대와 세제혜택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