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남반구도 물가 잡히나? 호주-뉴질랜드 금리 인상 제동

박종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2.28 15:42

수정 2024.02.28 15:42

호주 1월 물가상승률 2년 만에 최저치, 금리 인상 명분 사라져
뉴질랜드는 5연속 금리 동결. 물가상승 꺾였지만 당분간 금리 유지
지난해 8월 14일 호주 시드니의 축구 용품 매장에서 손님들이 상품을 고르고 있다.로이터뉴스1
지난해 8월 14일 호주 시드니의 축구 용품 매장에서 손님들이 상품을 고르고 있다.로이터뉴스1

[파이낸셜뉴스] 미국처럼 물가 억제를 위해 기준 금리를 인상했던 호주의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호주 당국이 금리를 더 올릴 명분이 사라졌다고 보고 있으며 이웃한 뉴질랜드 역시 물가상승세가 꺾인 이후 금리 동결에 나섰다.

미국 경제매체 야후파이낸스 등에 따르면 호주 연방통계국은 28일 발표에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4%라고 밝혔다. 이는 전월과 같지만 여전히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시장 전망치(3.6%)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호주 금융기관 챌린저그룹의 조나단 컨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일단 1개월 수치에 너무 많은 의미부여를 하는 것은 조심스럽지만 호주중앙은행(RBA)에게는 좋은 소식”이라고 평가했다.

RBA는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자 지난 2022년 5월부터 금리를 올렸다. 은행은 지난해 12월과 이달 6일에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으나 호주의 기준금리는 아직 4.35%로 약 1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RBA는 이달 금리 결정 직후 “물가상승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앞으로 물가 동향에 따라 금리 인상 재개를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동시에 내년 물가상승률을 2~3% 수준으로 억제하겠다고 알렸다. 야후파이낸스는 1월 CPI 가운데 임대료 상승률이 지난해 12월과 같았다며 물가상승세가 고점을 찍었다고 진단했다.

이웃한 뉴질랜드에서도 물가상승세가 꺾였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뉴질랜드의 지난해 4·4분기 CPI는 전년 대비 4.7% 올라 전분기 상승률(5.6%)에 비해 크게 줄었다.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 역시 지난 2021년 10월 이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섰으며 지난해 5월에 5.5%까지 올렸다. 이는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후 계속 금리를 동결하던 RBNZ는 28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회 연속으로 동결하여 5.5%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은행은 성명에서 "그간 금리인상이 물가상승을 억제하는데 기여했다"며 "물가상승률을 목표 범주 이하로 낮추기 위해 당분간 제약적인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종합 물가상승률을 1~3%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기준 금리를 장기간 제한적인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알렸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