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유통

"내 딸 빼고 다 명품 패딩"…'상대적 박탈감'에 지갑 '탈탈'

김주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04 08:47

수정 2024.03.04 15:25

백화점 3사 명품 아동복 매출 증가
MZ부모세대 '골든키즈'·'텐포켓'화
"아동복 넘어 장난감 고급화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자녀에게 명품 의류를 입히는 부모들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 전용 명품 옷을 판매하는 ‘키즈 명품’ 시장도 확대하는 추세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아이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부추길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불황 속 나홀로 호황…명품 아동복 매출 급증

최근 방송인 이지혜는 자신의 유튜브 영상에서 "놀이터를 가보니 내 딸 빼고 다 명품 패딩을 입고 있더라"며 "명품 사줄 생각은 전혀 없었는데 그 모습을 보니 중고거래 앱을 열게 됐다"라고 푸념한 바 있다.

실제로 유·아동을 겨냥함 명품 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다. 최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국내 3대 백화점인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의 지난해 수입·명품 아동복 매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베이비 디올의 '선물 전문 매장'을 국내 최초로 연 신세계백화점의 지난해 수입 아동 장르 매출은 15% 늘었다.

롯데백화점도 지난해 펜디키즈와 지방시키즈 등 명품 유아복 브랜드 매출이 10% 증가했다. 부가부, 스토케 등 프리미엄 브랜드 유아용품 매출도 25% 늘었다. 현대백화점에서는 26.7% 늘었다.

"한 명만 낳아 잘 기르자"…지갑 여는 부모들

역대급 불황 속에서도 유·아동 명품이 선전하는 건 저출산 기조가 이어지면서 "한 명만 낳아 잘 기르자"는 인식의 확대가 낳은 현상으로 해석된다. 한 명의 자녀를 공주나 왕처럼 키우는 '골드키즈' 현상, 주변 지인들이 한 명의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텐포켓' 현상 등 각종 신조어가 넘쳐나는 이유다.

소비 시장 ‘큰 손’으로 자리 잡고 있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가 부모가 된 것도 프리미엄 키즈 패션 시장 성장에 한 몫하고 있다. 자신의 가치를 위해서라면 과감히 주머니를 여는 MZ세대 부모의 특성이 장기적인 키즈 패션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부모 대리만족 투영…자녀 과시욕 부추길 수도

일각에서는 자녀에게 명품을 사주면서 대리 만족을 얻거나 과시 욕구를 드러내려는 부모들이 자칫 아이의 과시욕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고, 아이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면서 아동 개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정숙 계명대 소비자정보학과 교수는 “요즘 부부의 명품 소비는 기성세대보다 활발하다. 아이에게도 입히고 싶은 마음에 비싼 아동복을 쉽게 구매한다”며 “과거보다 자녀가 많지 않아 아이를 고급스럽게 키우려는 열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아동복 중심이지만 장난감이나 액세서리 등 아동용품도 고급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rainbow@fnnews.com 김주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