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대한민국 유기농업 일번지' 명성 이어간다

황태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07 10:04

수정 2024.03.07 10:04

올해 인증 목표 4만3000㏊...벼 줄이고 과수·채소 늘리기로
전남도가 올해 친환경농산물 인증 목표를 4만3000㏊로 정하고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에 총력을 기울여 '대한민국 유기농업 일번지' 명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 5일 열린 1분기 친환경농산물 인증 대책 회의 모습.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올해 친환경농산물 인증 목표를 4만3000㏊로 정하고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에 총력을 기울여 '대한민국 유기농업 일번지' 명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 5일 열린 1분기 친환경농산물 인증 대책 회의 모습.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대한민국 유기농업 일번지' 명성을 이어간다.

이를 위해 올해 친환경농산물 인증 목표를 4만3000㏊로 정하고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을 통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올해 인증 목표는 지난해와 동일하나, 벼 면적을 줄이고 그만큼 과수·식량작물 등 벼 이외 작물을 늘렸다. 또 현재 무농약으로 인증받은 농산물의 단계를 상향해 유기농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7일 전남도에 따르면 올 목표 달성을 위해 총 38개 지원 사업에 1604억원(자부담 243억원 포함)을 투입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은 △과수·채소 품목 다양화를 위한 전략품목 육성 지원 사업 3억2000만원 △난임부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 사업 12억원 △유기농 볏짚 환원 사업 26억원 등 신규 사업과 △유기·무농약 지속직불제 75억원 △과수·채소 전문단지 조성 30억원 등이다.

전남도는 사업 추진과 함께 분기마다 시·군, 친환경농업협회와 함께 인증 실적을 점검하고 인증면적 감소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는 인증 대책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지난 5일 개최했다.

또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와 농산물품질관리원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친환경농업 활성화 토론회를 열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실효적 방안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전남지역 친환경 인증 면적은 목표 대비 82%인 3만5417㏊를 달성했다. 이는 전국의 51% 규모다. 인증단계별로는 유기농산물이 2만2856㏊로 전국의 61%를 차지했고 무농약농산물은 1만2561㏊다. 품목별로는 벼가 2만2018㏊, 벼 이외 품목은 1만3399㏊다.

전남도는 전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의 38%에 그친 과수(835㏊)·채소(860㏊)의 인증 비율을 올해 4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시·군별로는 해남군 인증면적이 전국 최대인 4645㏊(전남 전체의 13%), 신안군 3535㏊(10%), 영암군 2848㏊(8%), 진도군 2481㏊(7%), 광양시 2284㏊(6.5%), 고흥군 2147㏊(6%), 장흥 2049㏊(5.8%) 등 상위 7개 시·군이 2000㏊ 이상을 달성했다.

유기농 벼 1000㏊ 이상 상위 8개 시·군은 신안군 2680㏊, 진도군 1799㏊, 영암군 1732㏊, 장흥군 1429㏊, 해남군 1263㏊, 영광군 1065㏊, 곡성군 1064㏊, 함평군 1001㏊ 순이었다.

벼 이외 유기농 과수 품목은 매실이 16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자치했다. 그다음으로 무화과 33㏊, 떫은감 29㏊, 단감 28㏊, 참다래 19㏊, 사과 14㏊, 유자 13㏊, 아로니아 10㏊ 순이었다.

10㏊ 이상 유기농 채소는 양파와 무가 각각 44㏊, 42㏊로 가장 많은 면적에서 재배됐고, 대파 25㏊, 단호박 23㏊, 양배추 22㏊, 배추 19㏊, 당근 12㏊, 건고추 11㏊ 순이었다.

정광현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전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지난 2022년 7만127㏊, 2023년 6만9221㏊, 2024년 1월 6만926㏊ 등으로 매년 감소 추세다"면서 "인증 면적 확대보다는 유기농산물 중심의 과수·채소 등 품목 다양화로 소비자 수요에 호응하겠다"라고 말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친환경농업 기반 구축 사업 개정 지침에 전남도 건의가 반영돼 수출형 집적지구모델 지원을 위한 수출 컨설팅, 글로벌 인증비용 등 분야 항목이 신설돼 수출모델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졌다"면서 "친환경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시·군, 친환경협회 등과 함께 실질적이고 효과적 지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마련해 추진하겠다"라고 덧붙였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fnSurvey